취약한 사원경제의 개선 필요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돼왔다. 수년 간 논란이 일고 있지만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문화재관람료 징수 문제도 이 문제의 연장선에 놓여있다. 이제 더 이상 사원경제의 새 모델 개발이 늦춰져선 안 된다.

사찰은 십일조와 헌금을 정기적으로 내는 교회·성당과 경제구조가 다르다. 대다수의 종단은 법당 불전함, 각종 기도비, 불사비와 일 년 중 가장 큰 행사인 부처님오신날 등(燈) 접수비가 수입의 전부다. 몇몇 사찰 외에는 수입규모도 적고, 시기도 부정기적이다 보니 이를 모아 대규모 불사를 진행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신도들의 정기적인 보시금(헌금)에 의지하는 구조 역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신도의 급감으로 교회와 수도원의 경제가 피폐해진 유럽 기독교계의 사례는 반면교사로 삼을만하다. 사찰 재정을 전적으로 신도들에게 의지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새 사원경제의 모델 개발이 시급하다. 사찰(도심은 제외)의 경우 오염되지 않은 자연환경에 둘러싸여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일부 전통사찰은 사찰 소유의 임야와 농지가 적지 않아 ‘선농일치(禪農一致)’의 정신을 부각시킨다면 의외로 사원경제의 새 모델을 쉽게 찾아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수행과 포교란 본기능 대신 기업처럼 수입에 치중한다는 비난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재정 자립을 통해 정부의 지원에 기대지 않고, 신도들의 주머니 열기에 급급하지 않을 때 오히려 존경받는 종교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기축년을 맞아 본지가 새롭게 연재하는 ‘사원경제 새 모델’ 관련 기획이 이런 변화의 도화선이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