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의 시민운동이 본격화된 것은 1994년 조계종 개혁종단 출범에 즈음해서다. 그러나 이후에도 그 목소리가 불교계 밖으로 퍼져나가진 못했다. 2000년 지리산 댐건설 백지화 운동을 기점으로 창립된 불교환경연대가 체면치레를 해준 정도.

불교환경연대는 창립 후 △천성산 관통도로 백지화와 △새만금 살리기 △북한산 관통도로 반대 △경부운하반대에 이르기까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됐던 굵직한 환경문제에 앞장서 왔다. 이 과정에서 일반회원도 5천여 명으로 늘어났고, 사찰회원도 300개에 이르렀다.

이 단체가 최근 ‘회원배가운동’을 전개하겠다고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표면적으로야 역량강화를 위한 흐뭇한 노력일 수 있겠지만 속내를 알고 나면 씁쓸함을 감출 수 없다. 그 이유가 재정난에 있기 때문이다.

CMS를 통해 매달 불교환경연대에 회비를 납부하는 일반회원은 270명 안팎. 그리고 20여 개의 사찰이 내는 후원금으로 그동안 살림을 꾸려왔다.

그런데 올 초부터 조계사와 선본사가 후원을 중단하면서 수입이 급격히 감소했다. 월 1천만 원이 안 되는 수입 중 두 사찰이 차지했던 비중이 절반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유급 상근자 5명의 임금조차 충당하지 못하는 힘겨운 상황에 빠지고 말았다. 한반도 대운하 백지화를 위해 대표선수 격으로 뛰고 있는 이 단체의 현주소다.

교계 시민단체의 경우 상황은 대동소이하다. 강의석 사태 이후 학생 등 소수 약자의 종교자유 보장을 목적으로 설립된 종교자유정책연구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수년간 사회적으로 공감대를 얻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으로 후원하는 회원은 수십 명에 불과하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현실적인 배고픔을 해소해주진 못한다. 불교시민운동단체를 바라보는 사찰과 불자들의 시선이 달라져야 하는 이유다.

기자가 불교환경연대를 찾아간 날, 사찰 주변에서 진행되는 공사와 관련해 도움을 요청하는 전화가 걸려왔다. 이들은 도움을 외면하지 못한 채 곧바로 현장으로 달려갔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