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식 교수 등 경원대 문화콘텐츠기술硏 세미나

우리의 문화재 관리가 기존에 해 오던 대로 진행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실질적인 행동강령과 매뉴얼 마련, 제도적 장치 보완이 시급하다는 제안이 제기됐다.

이 같은 지적은 3월 19일 경원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ㆍ아시아 문화연구소 주최로 열린 ‘한국의 문화재 관리, 이대로 좋은가’란 주제의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김홍식 명지대 교수는 이날 세미나의 발제문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방안 연구’를 발표한 뒤 “우리나라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문화재 구조에 대해 걱정하거나 고민하지 않고, 못 대신 볼트를 사용해야 하는 문화재에도 못을 박고 있다”며 “현 문화재 관리는 창피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 제도ㆍ방재 시스템의 개선, 재정의 확보 노력이 절실하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현행 공무원에 의한 직영 체제는 일이 느리고 인원의 잦은 교체로 체계적ㆍ조직적인 보수공사도 못 한다”며 “관(官)이 총 감독만 하고 문화재 수리를 관장하는 사람은 대학의 연구소 혹은 설계 사무소 등 별도의 조직을 선정해 맡기는 커미셔너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그는 “문화재 관리청의 지방청이 필요하며 문화재를 관리하고 있는 조직ㆍ장소의 일원화가 요구된다”며 문화재청과 박물관 조직을 통합할 것을 제안했다. 또 재료와 장소의 확보 면에서 산림청과도 조직을 합해 문화 유산부로 독립하고, 감사원이 재정 감사 외에 안전 관리 감사를 할 것도 덧붙였다.

이외에도 △재정의 확보 △유지 관리 매뉴얼 필요 △문화재관리직의 신설 △지방 자치시군에서의 문화재과 신설 △연구자 양성 △문화재 감시반 인력 충원 △문화재 복제 등을 강조했다.

백동현 경원대 교수 역시 내부진입의 방법을 나타낸 규정이 없어 신속한 진압활동을 위축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방수총이나 자동화재탐지설비, 무선통신설비 등 전문화ㆍ자동화된 화재방어시스템을 갖추고 문화재 또는 사찰 주변 주민의 신속한 참여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소방훈련은 실제 훈련처럼 해야 하는데, 양 기관이 문화재 보호라는 명목으로 서로 안 하려 하는 듯하다”며 “문화재에 대한 실질적 매뉴얼을 만들고, 소방처와 상호 협조하는 체제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호수 충북문화재연구원 부원장도 문화재 재난을 모두 문화재청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가의 관리에는 예산과 인력 등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시민과 국가가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을 것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