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궁에서
집 없는 곳으로

싯다르타가 출가를 위해 떠나던 날 밤, 숫도다나왕은 어둠을 지나 달빛 속으로 사라지는 싯다르타 왕자의 앞길을 위해 두 손을 모았으리라.
싯다르타가 출가를 위해 떠나던 날 밤, 숫도다나왕은 어둠을 지나 달빛 속으로 사라지는 싯다르타 왕자의 앞길을 위해 두 손을 모았으리라.

건기를 맞이해 인도 북부의 부처님 유적지를 순례했다. 부처님 성지가 가까워지면 가녀린 들꽃들이 희뿌연 먼지를 뒤집어쓴 메마른 순례자를 맞이한다. 다가가 만지기라도 하면 이내 무너질 듯 불안한 모습이다. 그들을 지나치지 않고서 거룩하고 안온한 부처님의 성소에 닿을 방법은 없다.

얼마나 많은 탄생과 죽음을 지나고서야 길 위의 삶을 멈출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번 생에서 마음의 안식을 찾을 수 있을까? 그들과 나, 우리 모두 벗어날 수 없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던 질문을 ‘그들의 삶과 나의 삶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자각으로 수렴한다.

“부처님은 왜 출가하셨을까!”

당시 시대상이나 신분을 고려하지 않아도 싯다르타 태자의 용기는 위대하다. 그에게는 무한한 사랑을 내미는 아버지와 태어난 지 겨우 7일 된 아들, 그리고 번영에 대한 기대로 가득한 백성이 있었다. 삶의 고통을 벗어나기 위한 개인 차원의 출가였다면 부처님은 이 많은 짐을 내려놓을 수 없었을 것이다. 순례자인 나조차 스치듯 다가오는 길 위의 사람들에 대한 연민을 멈출 수 없었으므로.

〈중아함경〉 ‘유연경(柔軟經)’에는 부처님 말씀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내가 출가하기 전 아버지 숫도다나왕은 나를 봄, 여름, 겨울 세 개의 궁전에 머물게 했다. 궁전 가까운 곳의 연못에는 언제나 푸른 연꽃, 붉은 연꽃, 그리고 흰 연꽃이 화려하게 피어 있었다. 내가 목욕을 마치면 시종들이 내 몸에 전단향을 바르고 비단옷을 입혀주었으며, 일산을 받쳐 들고 밤에는 이슬에 젖지 않고 낮에는 볕에 그을리지 않도록 도와주었다. 나는 항상 진기하고 맛있는 요리를 먹으며 배고픈 줄 몰랐다. 내가 별궁에서 놀 때면 늘 아름다운 여자가 옆에서 즐겁게 해주었고, 들로 나가 놀 때는 날랜 기병들이 주위를 경호했다. 나는 이렇게 풍족하게 지냈다. 어느 날 나는 농부가 밭을 갈다가 쉬는 것을 보고 나무 밑에 앉아서 생각했다.

‘어리석은 사람은 아직 건강하니 언제까지나 건강할 것으로 생각한다. 아직 젊으니, 언제까지나 젊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직 살아있으니, 언제까지나 살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젊음은 영원한 것이 아니며 사람은 누구나 병들고 늙고 고통을 받는다. 그리고 죽게 된다. 얼마나 두려운 일인가? 그럼에도 사람들은 어리석어 늙고 병들어 죽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범행(梵行, 맑고 깨끗한 행실)을 닦지 않는다. 젊고 건강하다고 거들먹거리며 방일하고 욕심을 버리지 않는다.’

이렇게 깨달은 나는 늙고 병들어 죽는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출가를 결심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부처님 출가의 계기를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생로병사를 현실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은유적 서사다. 싯다르타 태자는 어려서부터 세상을 깊이 관찰하고, 동물과 특별한 교감을 나누고, 잠부나무 아래에서 생로병사로 인한 고통에 대해 깊이 명상했다.

스물아홉 살이 된 싯다르타는 숫도다나왕이 그렇게도 두려워하던 출가를 결행한다.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려두고 백마에 올라 자신을 가두던 성을 넘어섰다. 싯다르타의 마음에 미련은 남지 않았을까? 두렵지는 않았을까? 왜 그렇게 서둘러야 했을까? 결혼을 받아들이고 라훌라의 성장을 조금 더 기다릴 수는 없었을까? 아버지 숫도다나왕에 대한 효심과 만백성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진리에 대한 탐구의 마음을 포기할 수는 없었을까?

부처님이 자신을 가두던 성벽을 뛰어넘어 수행자의 삶으로 나아간 바로 그날 인류의 역사는 송두리째 바뀌었다. 생로병사를 뒤로하고 달빛이 밝혀주는 해탈의 길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2,6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부처님이 보여주신 길을 따라 용기 있게 걸어가는 사람들을 만난다. 수계식의 날 출가수행자들의 눈빛에는 성을 나서던 부처님이 지녔을 결연한 의지가 보인다.

세상 모든 부처님의 위대한 포기 ‘마하비닛카마나(Mahabhinikkhamana)’는 아직도 그 어떤 이기적인 것에도 물들지 않으며 세상을 밝히고 있다. 보름달의 완전무결함으로 빛나고 있다.

인도 궁전의 화려함은 가히 상상조차 힘들다. 미로처럼 넓고 큰 방이 끝도 없이 이어진다. 
인도 궁전의 화려함은 가히 상상조차 힘들다. 미로처럼 넓고 큰 방이 끝도 없이 이어진다. 
높은 천장 아래로 길게 뻗은 복도를 걷다 보면 눈부신 보석에 정신을 잃을 정도다.
높은 천장 아래로 길게 뻗은 복도를 걷다 보면 눈부신 보석에 정신을 잃을 정도다.
밝은 빛을 향해 나란히 걸어가는 티베트 수행자의 뒷모습.
밝은 빛을 향해 나란히 걸어가는 티베트 수행자의 뒷모습.
제 역할을 잃은 고성에서 바라본 히말라야. 싯다르타는 수행자가 되어 하얀 능선 어딘가를 향해 나아갔을 것이다.
제 역할을 잃은 고성에서 바라본 히말라야. 싯다르타는 수행자가 되어 하얀 능선 어딘가를 향해 나아갔을 것이다.
출가수행자는 이렇게 말했다. “자비의 마음으로 모든 중생을 사랑하고 괴롭히지 않습니다. 마음을 비우고 오직 이치에 따라 살고자 합니다.”
출가수행자는 이렇게 말했다. “자비의 마음으로 모든 중생을 사랑하고 괴롭히지 않습니다. 마음을 비우고 오직 이치에 따라 살고자 합니다.”
코라(Kora)는 남걀사원 주변의 산책길로, 주변에는 ‘옴마니반메훔’과 같은 글귀를 많이 새겨져 있다. 코라를 도는 노부부의 뒷모습. 
코라(Kora)는 남걀사원 주변의 산책길로, 주변에는 ‘옴마니반메훔’과 같은 글귀를 많이 새겨져 있다. 코라를 도는 노부부의 뒷모습. 
카필라성 주변의 시골 마을을 멀리서 바라보면 한없이 목가적이고, 아름답다. 이 풍경 속으로 들어 가면 진하게 번지는 땀 내음에 숨이 막힌다.
카필라성 주변의 시골 마을을 멀리서 바라보면 한없이 목가적이고, 아름답다. 이 풍경 속으로 들어 가면 진하게 번지는 땀 내음에 숨이 막힌다.

 

오철만
사진가.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1997년 떠난 인도 여행 중 큰 사고를 당했다. 이를 계기로 사회적 성공의 길에서 방향을 틀어 사진과 함께 내면으로 향하는 시간을 살게 됐다. EBS 세계테마기행 스리랑카(2015)편과 인도(2018)편에 출연했다. 2009년 이후 수차례 개인전과 초대전을 열었고, 저서로 〈당신과 내가 좋은 나라에서 만난다면〉·〈길은 다시, 당신에게로〉가 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