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사회·경제문제 해결 방안 제시
김광수/운주사/2만 원

세속과는 거리가 멀고, 은둔적인 이미지에 가까운 ‘불교’와 세속의 ‘경제학’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지만, 따로 떼어 놓을 수도 없다. 부처님의 가르침에도 경제사상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치과 의사 출신으로 불교학을 전공해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불교운동가가 사회와 동떨어진 개인 중심의 수행종교로 인식돼 온 불교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비판하고, 세상의 경제·사회문제에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이 불교가 나아갈 길임을 제시한 책을 펴냈다.

저자는 책을 통해 경쟁과 성장으로만 치달으면서 인류의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이론적·학문적으로 체계화한 ‘불교경제학’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먼저 1장 ‘시장자본주의의 문제점’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시장경제와 신자유주의가 야기시킨 폐해가 지나치게 커져 지구멸망, 인류파멸의 지경까지 위협하게 됐다고 보고 이 문제들에 대해 살폈다.

2장 ‘대안으로서의 불교경제사상들’에서는 미얀마 대통령의 경제고문을 역임한 슈마허(불교 경제), 인도의 간디(기계화와 개발주의), 미국의 경제사학자 이스털린(소득과 행복의 관계), 이노우에 신이치(지구를 구하는 불교경제), 윤성식(연기 자본주의) 등 불교경제의 시각에서 1장에서 언급한 문제를 고민한 여러 현인들의 사상을 모아 정리했다.

3장 ‘욕구와 자발적 가난’에서는 인간의 심성 문제를 다뤘다. 과잉생산과 과잉소비를 가능케 한 원인은 인간의 소유욕·소비욕에 있고, 그것을 잘 다스리지 않는 한 시장자본주의의 문제는 인간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4장 ‘자족적 경제’에서는 경제 문제는 사회전반의 문제이지만, 그 해결은 사회 제도적인 방법과 개인의 자발적 가난〔소욕지족〕이라는 양 날개로 해결돼야 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5장 ‘불교수행 생활 공동체’에서는 소욕지족(所欲知足)을 위한 구체적인 수행방법으로 수행 공동체 운동을 제안하고, 기존의 사례들을 모아 소개하고 있다. 1·2장은 이론 부분(사회적 측면), 3·4·5장은 실천 부분(개인 수행적 측면)이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자본의 논리가 시나브로 청정 산문(山門)까지 침투하여 불교의 세속화를 부추기고 이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한 결과, 시민들이 불교를 걱정하고 있다. 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도, 불교의 가르침으로 자본의 폭주를 막아야 하는 것도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라고 강조한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김광수 #불교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