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30일까지, ‘백제 목간’ 주제 특별전
​​​​​​​총 3부로 구성, 목간 60여 점 전시

부여 쌍북리 출토 〈논어〉  목간.
부여 쌍북리 출토 〈논어〉 목간.

‘목간(木簡)’이란 나무를 깎아 그 위에 먹으로 문자를 쓴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글을 적은 나뭇조각이라 생각하면 된다. 종이가 널리 쓰이기 전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흔히 쓰였던 게 바로 ‘목간’이다. 고대 생활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인 ‘목간’을 통해 백제를 소개하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윤형원)은 7월 30일까지 특별전 ‘백제 목간-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를 기획전시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특별전에는 백제인의 일상이 담긴 목간 60여 점이 선보인다.

이번 특별전은 지난 2009년에 개최했던 ‘나무 속 암호 목간(木簡)’에 이은 두 번째 백제 목간 전시로 백제에서 발견된 목간을 중심으로 백제의 기록문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2009년 이후 출토된 새로운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목간을 만날 수 있다.

심상육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특별연구원에 따르면 부여에서는 1983년 관북리 유적을 시작으로 올해 2월까지 백제 목간 약 160점이 출토된 바 있다.

전시는 ‘목간, 발굴에서 보존까지’, ‘목간, 어디에서 나왔을까?’ ‘목간, 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 등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 ‘목간, 발굴에서 보존까지’는 나무로 제작된 문자 자료 목간이 1500년 동안 땅속에서 썩지 않고 발견된 이유와 이후 어떤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문자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되는지를 다루고 있다.

2부 ‘목간, 어디에서 나왔을까?’는 백제 목간의 90% 이상이 발견된 사비도성, 즉 오늘날 부여읍의 모습을 디오라마(diorama)로 제작하고,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 기술을 적용한 영상을 활용해 목간 발견지역을 입체적으로 소개한다.

3부 ‘목간, 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는 그동안 백제 목간에 쓴 글씨를 판독하고, 목간과 함께 출토된 문화재를 연구하며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백제 목간을 11개의 주제로 나눠 소개한다. 즉 백제 사람의 신분과 이름, 행정, 세금 징수와 꼬리표, 구구단, 의료, 대출과 이자, 백제 사찰과 제사, 손편지, 글씨 연습과 폐기, 〈논어〉 등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도 볼 수 있는 백제 사람들의 삶의 기록을 만날 수 있다.

특히 박물관은 3부 전시 내용 중 백제 관리를 주인공으로 한 ‘어느 백제 공무원의 하루’를 준비해 목간에 담긴 주제를 오늘날 기록문화인 SNS(Social Network Service) 대화 형식으로 소개한다.

부여박물관 관계자는 “백제 목간은 기존 문자 자료에서는 알 수 없는 백제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백제 역사와 사회를 보다 구체적·입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게 한다.”면서 “목간은 몇 글자 되지 않는 내용이 적힌 나뭇조각에 불과하지만 역사의 한 페이지를 바꿀 수 있을 정도의 가치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특별전에서 목간에 적힌 백제 사람들의 손글씨를 감상하며, 문자를 자유자재로 구사한 백제 사람들의 수준 높은 기록문화와 따뜻한 인간미를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부여 구아리 출토 ‘득진(得進)’이 적힌 목간.
부여 구아리 출토 ‘득진(得進)’이 적힌 목간.
부여 쌍북리 출토 구구단 목간.
부여 쌍북리 출토 구구단 목간.
‘어느 백제 공무원의 하루’ 주인공 득진.
‘어느 백제 공무원의 하루’ 주인공 득진.
‘내신좌평과의 대화’ 목간에 담긴 주제를 SNS 대화 형식으로 풀어낸 설명.
‘내신좌평과의 대화’ 목간에 담긴 주제를 SNS 대화 형식으로 풀어낸 설명.
백제 목간이 발견된 지역.
백제 목간이 발견된 지역.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