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국대전〉·‘안중근의사 유묵’ 등 10건 보물 지정

고려 후기의 유일한 금동약사불상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이 국보로 지정됐다. (사진=문화재청)
고려 후기의 유일한 금동약사불상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이 국보로 지정됐다.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청장 최응천)623일 고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을 국보로 지정했다.

국보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고려 후기의 유일한 금동약사불상이자 당시 조각 경향을 잘 반영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발원문에는 1346(고려 충목왕 2)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가 적혀있어 고려 후기 불상의 기준 연대를 제시해주고 있다.

고려 후기 불상조각 중 약합(藥盒)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의 도상을 정확하게 보여주며, 온화하고 자비로운 표정과 비례감이 알맞은 신체, 섬세한 의복의 장식 표현 등 14세기 불상조각의 전형적인 양식을 나타낸다.

가로 10미터가 조금 넘는 발원문에는 약 1117명에 달하는 시주자와 발원자의 이름이 적혀 있다. 고려 시대 단일 복장발원문으로서는 가장 많은 인명의 수이다. 특히 발원문을 지은 백운(白雲) 스님은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이자 직지로 잘 알려진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1377)을 편찬한 백운경한(白雲景閑, 12981374)과 동일인물로 추정되고 있어, 그의 행적을 밝힐 수 있는 또 다른 자료로서 의미가 깊다.

장곡사 불상 제작에는 왕전(王顓, 후에 공민왕) 등 왕족을 비롯해 군부인(郡夫人무관(武官), 일반 백성 등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해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몽골침탈기라는 어려운 시대 상황 속에서 자신과 가족의 무병장수, 전쟁 중에 죽은 친족의 극락왕생을 발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명 중에는 공민왕의 몽고식 이름인 바얀테무르[伯顔帖木兒]를 비롯해 금타이지[金朶兒只], 도르지[都兒赤]처럼 몽고식 이름이 눈에 띠는데, 이는 역사기록 속에서 찾을 수 없는 14세기 중엽의 시대상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또 조선왕조의 기틀을 담은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으로 총 3종을 보물로 지정했다. 삼성출판박물관이 소장한 경국대전 권1~2’과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경국대전 권1~3’, 수원화성박물관이 소장한 경국대전 권4~6’이 그것이다.

경국대전 권1~2’는 현존하는 경국대전 판본 중 가장 빠른 것으로, 1471(성종 2) 신묘년에 간행된 신묘대전(辛卯大典)’이다. ‘경국대전 권13’경국대전 권46’은 모두 1485(성종 16) 완성된 소위 을사대전을 바탕으로 16세기에 간행된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初鑄甲寅字混入補字本)이다.

문화재청은 이밖에도 정조가 재위시철 외숙모 여흥민씨에게 한글로 쓴 편지 한글어찰첩’, 천문도의 일종인 구법천문도(舊法天文圖)’, ‘안중근의사 유묵’ 5점 등 조선~근대기에 이르는 전적 및 회화, 서예작품 등 총 10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했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발원문 후반부의 백운화상 서명 부분. 발원문에는 약 1117명에 달하는 시주자와 발원자의 이름이 적혀 있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발원문 후반부의 백운화상 서명 부분. 발원문에는 약 1117명에 달하는 시주자와 발원자의 이름이 적혀 있다.
보물 ‘경국대전 권4~6’.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보물 ‘경국대전 권4~6’.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의사 유묵’ 5점 중 세심대.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의사 유묵’ 5점 중 세심대.
8폭 병문의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
8폭 병문의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