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맹·리더십, 흑호〈黑虎〉 기운으로 국난 물리쳐야”

십이지신 중 호랑이.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22년 임인년(壬寅年)은 검은 호랑이의 해다. 십이지신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호랑이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금도 우리 민족이 가장 좋아하는 동물로 손꼽힌다. 임인년을 맞아 신령스러운 호랑이 이야기를 덕담삼아 소개하고자 한다. 편집자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물고 검은 호랑이의 해인 임인년(壬寅年)이 밝았다. 호랑이는 십이지신에서 쥐와 소에 이어 세 번째로 등장하는 동물이다. 시간상으로는 음력 정월, 오전 3시부터 5시까지에 해당한다. 공간적으로는 동북동을 가리킨다. 올해는 천간(天干)의 ‘임(壬)’이 검은 색을 나타내므로, ‘검은 호랑이의 해’ 또는 ‘흑호의 해’라고도 말한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호랑이를 두려움의 대상인 동시에 인간을 지켜주는 영험함을 가진 친숙한 동물로 여겨왔다. 호랑이가 화재·수재·풍재 등 삼재를 막아주고 병난·질병·기근 등 액난을 막아준다고 믿어왔다. 정초에 호랑이 그림을 집안에 걸어두면 삼재를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해 ‘호축삼재(虎逐三災)’라고 하며 대문에 호랑이 그림을 붙이거나, 집안에 수예품을 걸었다. 삼재부(三災符)에는 보통 호랑이 등에 머리가 셋 달린 매가 올라탄 그림을 그려 넣는다. 삼재가 언제, 어디에서 접근할지 모르기 때문에 삼재부에 매와 호랑이를 함께 등장시켜 하늘과 땅,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보호받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는 것이다.

사찰의 벽화에서도 호랑이 그림을 쉽게 접할 수 있다. 나한이나 산신이 거느리는 호랑이로 주로 불법 수호의 역할을 담당한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 어려워진 사찰 경제를 살리기 위한 방편으로 일반 대중이 선호하는 민화 이미지를 불화와 벽화에 반영했는데, 이런 추세 속에서 사찰의 벽화로 호랑이 그림이 많이 제작됐다고 한다.

이때의 호랑이는 해학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았다. 선암사·용문사·금탑사·용연사·범어사 등 여러 사찰에 호랑이 벽화가 전하며, 특히 통도사의 응진전·명부전·해장보각·미륵전 등 여러 곳에 호랑이 벽화가 자리 잡고 있다.

조선 후기부터 급감해 멸종

민간에서 호랑이는 삿된 것을 쫓아주는 백수의 왕이자 용맹함과 슬기로움의 상징이다. 동시에 성격이 사나우며 급하고, 참을성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이런 호랑이에 대한 민간의 인식은 호랑이띠에 태어난 사람들을 평가할 때도 그대로 나타난다. 호랑이띠에 태어난 사람은 주체적인 성향이 강하다. 그래서 남의 밑에서 일 하기를 싫어하고, 남에게 지는 것을 못 참는 편이다. 이러한 자신감은 다른 사람을 포용할 수 있는 여유를 주어 호랑이띠에 태어난 사람은 대체로 리더십이 뛰어나다고 한다.

개체별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호랑이의 생태적 특성 때문에 민간에서는 호랑이를 고독하고 은둔생활을 즐기는 존재로 여기게 되었다. 그래서 큰스님들은 대게 범띠[寅年], 범월(寅月), 범일(寅日)에 태어난 사람이 많다고 전하며, 사주에 범이 들어간 사람들은 종교인이나 예술가가 된 사례가 많다고 한다.

과거에는 호랑이의 위협이 끊이지 않아서 ‘호식(虎食)’·‘호환(虎患)’이라는 단어가 생길정도로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호랑이를 신령한 존재로 바라보며 용맹스러운, 신비스러운 대상으로 확장했다. 호랑이는 이내 든든한 수호신이자 숭배의 대상이 되어 소원을 들어주고 나쁜 것을 물리쳐 주는 신으로 여겨졌다. 이렇게 호랑이는 조선시대까지 벽사·수호·길상·권위·용맹의 상징이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와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등에 따르면 매년 정월 초하루에는 궁궐뿐만 아니라 민가에서도 호랑이 그림을 대문에 붙이는 풍습이 있었다. 부적 또는 판화 형태로 집의 대문이나 벽에 붙였는데, 이는 호랑이의 강인함에 기대어 집에 침투할 수 있는 나쁜 기운을 물리치려는 목적이었다. 대개 부적이 문자나 알 수 없는 그림으로 그려진 것에 반해 호랑이부적에는 호랑이의 모습이 확연하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고, 조선이라는 잃어버린 나라의 표상이었다. 불교를 숭상해 불살생을 덕목으로 삼던 고려시대까지 호랑이는 전국의 드넓은 산지를 영역 삼아 흩어져 살았다. 하지만 조선시대 들어 인구 급증으로 산지를 개간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빈번해지자 호랑이를 사냥하는 군대[捉虎軍]가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급기야 호랑이는 한반도에서 멸종하기에 이른다. 그럼에도 우리 민족의 호랑이에 대한 사랑은 계속됐다.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의 마스코트 ‘호돌이’를 계기로 한반도의 호랑이 표상이 되살아났다. 30년이 흐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서도 마스코트로 백호를 형상화한 ‘수호랑’이 선정됐다. 지난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한국선수단의 구호는 퓨전 국악에서 차용한 ‘범 내려온다.’였다.

삿됨 막아주는 호랑이

우리 민족은 한민족의 역사가 시작된 후 수천 년 동안 호랑이와 함께 살아오면서 호랑이의 엄청난 파괴력을 두려워하면서도 그 힘과 용맹을 사랑했다. 호랑이는 영험한 동물로 대접받았으며, 산신령 또는 산신·산왕·산군(山君) 등으로 불리며 신성시됐다.

이런 흔적은 〈단군신화〉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단군신화〉 속 호랑이를 믿는 부족은 환웅족과 결합하지 못하며 이야기에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호랑이는 그 이후 마을공동체 신앙으로 자리 잡았다. 산신을 모신 산신각·삼성각·칠성각 등을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산신을 모신 사당 대부분의 산신도에는 호랑이가 등장한다. 이렇게 호랑이는 마을의 수호자이고, 경우에 따라서 산신령으로 통하는 영물이다.

또한 호랑이는 용·주작·현무와 함께 사신으로서 서쪽 방향을 지키는 지킴이였다. 고구려 고분의 벽화나 도관(陶棺, 장례용 도자기 관)에서 백호(白虎)를, 제례악기인 어(禦)에서도 호랑이를 볼 수 있다. 왕의 무덤에 나쁜 기운이 미치지 못하도록 수호한다는 석물 중에도 석호(石虎)가 있다.

호랑이의 영험성은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마주할 수 있다. 전통혼례를 할 때 신부의 가마 위에 호랑이 가죽을 씌워 재액을 방지했고, 신랑은 호랑이 발톱을 허리에 차 액운을 물리쳤다. 어린아이의 머리쓰개인 호건(虎巾)이나 호랑이흉배, 호랑이수염, 호랑이발톱노리개, 바둑판, 베갯모에 쓰인 호랑이 문양에도 나쁜 기운을 막고 좋은 것만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깃들어 있다. 물건에 호랑이 형상을 담으면 그 물건이 나쁜 것들과 재앙을 물리쳐 줄 것이라 믿었기 때문이다. 또한 해당 물건을 사용함으로써 호랑이의 용맹함과 지혜로움을 본받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부처님 전생담에도 등장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인 호랑이는 이야기 소재로도 자주 등장한다. 부처님의 전생이야기 〈본생담〉에는 늙고 병들어 더 이상 사냥을 할 수 없게 된 어미 호랑이가 하는 수 없이 자신의 새끼 호랑이를 잡아먹으려고 하자, 마하살타 왕자가 자신의 몸을 기꺼이 호랑이에게 보시하고 그 복덕으로 도솔천에 태어나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밖에도 무서운 호랑이를 잡은 효자와 열녀의 은혜를 갚은 호랑이에 이르기까지 신화·전설·동화 등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호랑이는 인간 세상의 모든 관계를 빗대어 보여준다.

조선시대 무관 관복의 흉배에 수놓아진 호랑이는 당시 관리들이 깔고 앉았던 호랑이 가죽과 함께 부귀와 권세를 상징한다. 무관들의 거처나 군대 시설물의 장식병풍으로 썼던 호렵도(虎獵圖)는 무관들이 용맹함을 과시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한두 마리의 까치가 호랑이에게 말을 거는 듯한 모습의 민화 작호도(鵲虎圖)는 나쁜 기운을 막는 동시에 새해를 맞는 즐거움과 기쁨을 표현한다.

호랑이는 우리 민족의 삶 속에 녹아들어 선조의 경험과 지혜를 전하는 매개로 상징화되었다. 호랑이의 위력으로 사악한 것을 쫓고 복 받기를 갈망한 선조들은 민속신앙과 세시풍속 등에 호랑이와 관련한 믿음을 반영했고, 지금까지 우리 문화 속에 녹아들어 전해오고 있다.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은 우리나라만큼 호랑이 이야기가 많은 나라는 없다고 하여 ‘호담국(虎談國)’이라 부르기도 했다. 한반도에서 호랑이는 사라졌으나 그 역사와 민족·언어·문화적 상징성은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상징하고 민족의식과 자존감을 높여주는 대한민국의 대표 동물 호랑이. 한국인에게 호랑이는 민족의 정서와 문화를 간직한 동물이자, 우리의 설화 속에서 오랜 시간 애환을 함께 해 온 기록이자 지속할 문화적 자산이다.

호랑이가 액을 쫓는 동물인 만큼 밝아오는 임인년 새해에는 검은 호랑이와 같은 기세로 국난을 극복하고 세계를 향해 크게 포효하리라 기대한다.

까치호랑이[鵲虎圖].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