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용사지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투조 금동귀면' 정면(왼쪽)과 측면(오른쪽). (사진=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교문화재연구소, 9월 6일 현장보고회

경주 황용동 소재 황용사지에서 국내에선 처음으로 통일신라시대의 투조(透彫, 금속판의 일부를 끌이나 톱으로 도려내고, 그 남은 부분을 무늬로 나타내는 기법) 금동귀면이 출토됐다.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 이하 연구소)는 “연구소는 문화재청과 함께 2013년부터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 7월, 경주 황용사지 발굴 조사 과정에서 투조 금동귀면 등 희귀한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됐다.”고 9월 4일 밝혔다.

황용사지 발굴현장에서는 걸이가 있는 투조 금동귀면, 석불(비로자나불 추정), 소조불 등의 불상, 용두편, 하대석 편 등이 발굴됐다. 또 계곡 주변에 크고 작은 석축 대지를 조성한 후 건물을 축조한 산지형 가람인 황용사 터에 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건물지 5동, 탑지, 축대, 석렬 등 다양한 유구가 중복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쌍탑이 있는 구역의 경우, 고려시대와 관련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지 않아 고려시대에는 주변 다른 곳으로 옮겨 갔다가 조선시대에 다시 중창되는 등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이를 통해 연구소는 황용사 사역(寺域)이 현재 추정하는 사역보다 훨씬 넓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소는 9월 6일 오후 2시 30분 황용사지 발굴현장에서 ‘시굴조사 현장보고회’를 열어 현재까지의 조사 성과를 밝힐 예정이다.

<불국사고금역대기(佛國寺古今歷代記)>에 의하면 황용사는 선덕여왕 2년(633년)에 창건됐다. 당시 사명(寺名)은 황둔사(黃芚寺)였으며, 소성왕대에 황용사(黃龍寺)로 바뀌었다. 이후 중창ㆍ 중수 되면서 사세를 유지해 왔다.

조사 전부터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 쌍탑을 비롯해 고려시대 부도, 초석, 석축들이 흩어져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황용사가 언제 폐사됐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그동안 정비ㆍ보수가 진행되지 않았다. 발굴조사 착수 당시에도 산죽ㆍ수목 등이 뒤엉켜 유구 일부가 붕괴되고 있었다. 이에 연구소와 문화재청은 황용사지 사역과 성격을 확인하고자 지난 7월 추정사역에서 시굴조사를 시작했다.

황용사지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석불. (사진=불교문화재연구소)
황용사지 쌍탑과 금당지 전경. (사진=불교문화재연구소)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