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宋 선종사원, 포교보다 깨달음 치중한 作佛학교”
윤창화/민족사/25,000원

“당송시대 선종사원은 자급자족을 했습니다. 신도들에게 보시를 받은 후 목탁을 치며 기도를 해주는 과정이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도심에 위치해 있던 교종이나 율종 사원과 달리 산중에 절을 지은 것도 이런 이유입니다. 당 말까지는 법당에 불상을 모시지도 않았습니다. 신도들의 기도를 해주며 먹고 사는 게 아니라 좌선을 통해 해탈을 하는 게 선종사원의 주된 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당송시대 선종사원은 종교적 기능보다 중생을 깨달은 부처와 조사로 만드는 작불(作佛)학교였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최근 8년 간 당송시대 선원의 생활문화에 대해 고찰해 온 저자는 선어록이나 문헌을 통해 당시 선 사상을 살펴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각종 청규를 중심으로 선원에서의 소임, 운영방법, 가람구조 등을 제반 여건을 통해 선 사상의 본질을 탐구했다.

또 당송시대 선원총림의 납자 지도 및 교육시스템은 법문·독참(獨參, 개별지도)·청익(請益, 보충교육)·좌선 등 네 가지였다고 설명한다. 이런 시스템은 각종 제도에서는 물론 가람 구조에서도 확연하게 나타나는데, 당송시대 선종사원에서 가장 중요한 당우는 법당과 방장, 승당이었다고 말한다. 법당에서 설법을 듣고, 방장에서 독참과 청익을, 승당에서 좌선을 했다는 것이다. 이 세 당우가 성불작조(成佛作祖)의 핵심 건물이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대웅전을 폐지하고, 설법당만 세우고 △총림의 모든 식생활을 울력으로 해결했으며 △참선을 지도하는 방장이 곧 법왕이었던 당송시대 선종으로 돌아가자고 제안하는 저자는 “한국불교의 선종사원도 깨달음을 향한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송시대의 선종사원을 거울삼아 현재 우리 시대의 불교의 모습을 비추어보게 하는 책이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