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가람터 지척 두고 '빙빙'…관음보살이 찾아줘

       

조선 영조대왕 24년(1748) 초봄 어느 날 아침. 지금의 연세대학교 자리에 위치한 봉원사에 어명이 내렸습니다.

“귀사의 도량을 국가에서 긴히 쓰고자하니 새로운 도량을 정하도록 하라.”

“도량을 옮기라고? 어허 장차 이일을 어찌할꼬?”

궁으로 돌아가는 사신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망연해하던 주지 찬즙 스님은 법당으로 들어가 분향하고 〈법화경〉을 독송하며 관세음보살님께 발원하였습니다.

“자비로우신 관세음보살님 어리석은 소승에게 길을 열어 주옵소서! 나무 석가모니불…”

스님은 이튿날 새벽 목욕재계하고는 백일기도에 들어갔습니다. 초파일이 되어 신도들이 법을 청해도 스님은 응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백 일 째 되던 날 새벽, 용맹정진에 들어간 스님은 비몽사몽간에 어떤 여인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지금의 도량은 내가 머물기에 적합지 아니하니 대사께서 부디 좋은 가람 터를 잡아 중생교화에 부족함이 없도록 해주시오.”

소리 나는 쪽을 바라보니 기암괴석 옆에 물병을 든 한 여인이 동자와 함께 서 있었습니다.

“아! 저분은 관세음보살님.”

스님은 황망히 머리를 조아리며 간곡히 청했습니다.

“소승, 식견과 덕이 부족하오니 부디 길을 인도하여 주옵소서.”

“대사의 신심이 능히 내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도량을 찾을 것이오.”

관세음보살님의 음성이 아직 허공에 맴도는듯한데 여인은 홀연히 자취를 감추고 동자만이 산 아래로 날듯이 내려갔습니다. 스님은 동자를 좇으려 급히 발을 옮기려다 그만 바위 아래로 구르게 되었습니다. 하여 무엇인가 잡으려고 안간힘을 쓰는데 옆에서 누가 흔드는 바람에 정신을 차려보니 법당이었습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었지요. 몸에선 땀이 비 오듯 했고 손에 들려있는 목탁 채는 얼마나 힘을 주었던지 손자국이 나 있었습니다.

스님은 급히 상좌 도원에게 일렀습니다.

“도원아, 어서 길 떠날 차비를 해라.”

“스님! 오늘은 기도 회향일입니다.”

“인석아, 기도는 왜 했느냐?”

스님은 대중 몰래 도원만을 데리고 꿈에 본 곳을 찾아 나섰습니다. 절 떠난 지 벌써 여러 날. 짚신이 동이 나고 장삼모양도 말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노상의 떡장수를 본 도원이 발길을 떼지 않고 곁눈질만 하고 있었습니다.

“도원아, 떡 좀 먹으련?”

도원은 너무 기뻤지요. 도원은 대답대신 방긋 웃으며 덥석 떡을 입에 넣었습니다. 이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찬즙 스님에게 떡장수 할멈이 말을 건넸습니다.

“신심이 장해야 부처님을 뵙는다는 말이 있듯 시장이 지극하면 내 떡 맛도 괜찮을 텐데, 스님은 아직 덜 시장하신가 보구려?”

스님은 맹랑한 떡장수 말에 기분이 언짢아 떡 두어 개를 집어 먹고 일어서려는데, 노파가 배를 움켜쥐고 웃으며 다시 말을 던졌습니다.

“살다보니 별꼴 다 보겠어요 스님. 저쪽 장터에 가 보니 개 눈을 가려 놓고는 먹을 것을 끈에 달아 희롱하고 있지 않겠어요. 헌데 우스운 것은 그 개 주인이 개를 향해‘눈 가린 것 풀 생각은 않고 먹는 생각만 하는 것이 꼭 봉원사 주지 찬즙 같구먼’하지 않겠수?”

이상한 생각이 든 스님이 한 걸음에 급히 장터로 가봤으나 개는커녕 사람의 인기척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돌아와 보니 떡장수 노파도 간곳이 없었습니다. 스님은 개에 비유된 자신의 무지함을 생각하며 걸었습니다. 그 때 도원이 불쑥 말을 꺼냈습니다.

“스님, 더운데 등목이나 하시지요?”

눈앞엔 맑은 개울물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대사는 말없이 개울로 발길을 옮겨 물속에 몸을 담구었습니다. 그 때였습니다. 등을 밀겠다고 다가온 도원이 대사의 등줄기를 후려치더니 태연히 한마디 하는 것이 아닙니까?

“법당은 호법당인데 불무영험이로다.”

“너 지금 뭐라 했느냐?”

스님이 놀라 물었습니다.

그런데 도원은 태연히 말했습니다.

“제 등 좀 밀어 주시라고요.”

스님은 하는 수 없이 다시 도원의 등을 밀었습니다. 그런데 다시 도원이 말문을 열었습니다.

“등짝은 제대로 보는데 부처는 왜 못 보나?”

스님은 황급히 도원에게 절을 했습니다.

“아이구 날이 더우니 우리 스님 실성하셨네.”

스님이 머리를 조아리니 도원은 대경실색하여 엉엉 울기 시작했습니다. 하는 수 없이 일어서던 대사는 먹은 떡이 얹혔는지 그만 배를 움켜쥐고 말았습니다. 놀란 도원은 울음을 멈추고 인근 의원을 불렀습니다. 약을 먹고 이튿날 정오에야 정신을 차린 스님은 봉원사로 향했습니다. 여러 날 걸려 바로 절 밑까지 왔으나 도저히 더는 움직일 수가 없었습니다.

“가람 터를 찾지 못함이 한스럽구나. 목이 몹시 마르다. 물을 좀…”

스님은 상좌 도원에게 마지막 모습을 보이고 싶지 않았습니다. 도원은 물이 있는 곳으로 뛰어갔습니다. 그런데 마침 가득 물을 채운 물병을 들고 오는 동자가 있었습니다. 도원은 급하게 물이 있는 곳을 물었습니다. 그리고 정성스레 쪽박에 물을 길어왔습니다.

거의 초죽음 상태의 스님 입에 물을 흘려 넣으니 신기하게도 금방 혈색이 돌았습니다. 스님은 차츰 정신을 차리더니 쪽박 물을 단숨에 들이켰습니다. 그리고 언제 아팠느냐는 듯 기운을 차린 스님은 상좌와 함께 샘터로 갔습니다. 돌 틈에 두개의 샘이 아래위로 있었습니다. 스님은 아래 쪽 물에 손발을 씻고, 윗물로 공양을 지어 불공을 올렸습니다.

“관세음보살님 가피로 목숨을 부지했사오나, 가람 터를 발견하고 목숨 버림만 못하옵니다. 부디 소승의 발원 이뤄주옵소서.”

그 때였습니다.

돌연 도원이 게송을 읊었습니다.

“말을 한들 알까, 보여준들 알까, 물이 덥고 시원함은 마셔봐야 알 수 있는 것을.”

멍청히 도원의 게송을 듣던 스님은 종소리에 정신을 차렸습니다. 바라보니 중암선사가 주석하는 반야암이었습니다. 스님은 혼자서 게송을 외우는 도원을 두고 암자를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그제야 게송을 하는 것은 도원이 아니라 관세음보살님인 것을 알아차린 것이지요. 스님이 그렇게 급하게 암자로 오르는데 동자들이 바위 위에서 마구 뛰어놀고 있었습니다. 바로 꿈에 본 광경이었습니다. 다시 자세히 보니 바위 전체가 자애로운 관세음보살님의 모습이었습니다.

“자비로우신 관세음보살님! 감사합니다!”

“자비로우신 관세음보살님! 감사합니다!”

스님은 합장한 채로 눈물을 흘리며 관세음보살님을 연호하였습니다.

어느새 동자들은 간곳이 없었습니다.

“아, 눈 밝지 못하여 지척에 두고 먼 곳을 찾았구나.”

반야암에 이르니 중암선사가 경내를 서성이다 반색을 하였습니다.

“대사였구려.”

“무슨 말씀이신지요?”

“오늘 아침예불을 마치고 나오는데 웬 동자 둘이 와서 도량을 크게 일으킬 사람이 올 테니 도와주라고 하지 않겠소. 그래서 기다리던 중이오.”

아하, 찬즙 스님은 자신의 무릎을 쳤습니다. 이 세상사의 모든 일이 어려울 때, 그 누구도 해결해 줄 사람이 곁에 없을 때, 바로 그 때 힘이 되어주는 것은 오직 관세음보살님 한 분뿐이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부처님의 제자를 자처하며 평생을 살아온 찬즙 스님도 그제야 관세음보살님의 가피력을 비로소 알게 된 것이지요. 그것이 불과 2~300 년 전 일입니다. 그렇게 찬즙 스님이 새 가람을 세우자 사람들은 새로 옮겨 지은 절이라 해서 봉원사
를 ‘새절’이라 불렀습니다.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아름다운 절 이름입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