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원 울산대 교수

포정이라는 요리사가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누르고, 무릎을 구부리면서 움직임에 따라, 서걱서걱 소의 뼈와 살이 갈라지면서 나는 소리와, 쓱쓱 삭삭 칼로 가르는 소리가 모두 음률에 맞았고, 춤 장단에 조화되었다. 문혜군이 이 모습을 보고 크게 감탄하여 말하였다. "아아, 참으로 훌륭하구나. 기술이 어찌 이런 경지에까지 이를 수 있단 말이냐.> 그 말을 듣고 요리사 포정이 칼을 놓고 대답하였다. "제가 즐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기술보다는 차원이 높은 것이지요.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은 소밖에 없었습니다. 3년이 지나자 소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에 와서는 소를 마음으로 만나지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감관을 통해 보지 않고 마음으로 보기 때문에 자연의 이치(天理)에 따라 뼈와 살의 큰 틈새와 빈곳에 칼을 넣어 젖혀 갑니다. 소 몸 생긴 대로 따라 가므로 아직 한 번도 살이나 뼈를 다치게 한 적이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야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솜씨 좋은 소잡이가 일년마다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소잡이라면 달마다 칼을 바꿉니다. 뼈를 건드리니까 그렇지요. 하지만 제 칼은 19년 동안이나 쓰고 있는 것입니다. 그 동안 수천 마리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 같습니다. 소의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지만, 칼날은 두께가 없을 정도로 얇습니다. 두께 없는 것으로 틈새에 넣으므로, 공간이 넉넉하여 칼을 움직이는 데 걸림이 없습니다. 그러기에 19년이나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킨 곳에 이를 때면 그 어려움을 절감하고 방심하지 않은 채 경계를 늦추지 않으면서 집중하고 손놀림을 천천히 하면서 칼을 매우 미세하게 움직입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 틈에 뼈와 살이 갈라져서 떨어지는 것이 흡사 흙덩이가 땅바닥에 떨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일을 다 마친 뒤에는 칼을 든 채 일어나 사방을 둘러보며 흐뭇한 마음으로 칼을 닦아 챙겨 넣습니다."
 문혜군이 말했다. "훌륭하구나. 내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도(道)를 얻었도다.”

-《장자》양생주(養生主) -

크게 성공한 사업가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흔히 그들은 누구보다도 강한 의지와 소신이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평가되곤 한다. 자기 주장을 일관되게 관철한 것이 성공의 비결이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심히 보면 사정이 많이 다르다. 목표를 향한 불굴의 의지나 확고한 신념은 분명 돋보이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자기 주장만이 옳다고 고집스럽게 추진해서 성공한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그들에게 돋보이는 공통점은 경직된 자기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유연한 개방성이다. 문제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그들은 언제든지 기존의 생각을 바꾼다. 기존의 생각이나 소신에 집착하지 않고 더 나은 판단, 새로운 관점들을 향해 자기 마음을 연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자기 주장적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자기 개방적이다. 
 
포정이 19년 동안이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이 여전한 것은, 그가 자기 기술을 믿고 소에게 덤비는 것이 아니라, 소의 얽힌 힘줄과 뼈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 결에 맞추어 칼을 쓰기 때문이다. 무릇 자아를 문제 풀이에 강요하는 자는 실패한다. 자기를 비우고 상황을 보아야 해법의 실마리가 제대로 보인다. 끝없이 자신을 개방할 수 있는 열리고 빈 마음이라야 생명 세상을 온전하게 가꾼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