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수능엄경의해 권9~15’도 지정
​​​​​​​문화재청 “연구자료로서 가치 높아”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3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安城 靑龍寺 金銅觀音菩薩坐像)’과 ‘수능엄경의해 권9~15(首楞嚴經義海 卷9~15)’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14세기)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통견을 입었으며. 대좌 위에 완전히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있는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려 각각 검지와 중지를 맞댄 설법인(說法印)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 보살좌상은 갸름한 얼굴에 복스러운 얼굴 표정, 보계와 귀걸이, 고개를 앞으로 내민 구부정한 자세 등의 표현에서 고려 후기 전통양식으로 이해되는 일군(一群)의 보살상과 유사성을 보인다. 동시에 다소 좁고 왜소한 어깨, 긴 허리, 높은 무릎 등의 표현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변화하는 전통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식의 보살좌상이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진 데 반해 드물게 금동으로 제작되었다는 점, 복장에서 발견된 중수발원문에 보이는 기록을 통해 그 내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는 점 등에서 역사적·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인도 반라밀제(般剌密諦, 極量) 스님이 중국 당나라로 전래해 한역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10권을 중국 남송의 함휘(咸輝, ?~?)가 30권으로 엮은 주해서(註解書) 중 권9~15에 해당하는 경전이다. 해당 경전의 간행시기·간행처·간행자 등을 적은 각 권말의 간기(刊記)를 통해 조선 세조 8년(1462) 간경도감에서 경판을 만들어 간행된 사실을 알 수 있다.

해당 경판은 현재 전하지 않고, 이 경판으로 인출한 인경본(印經本)도 많지 않다. 때문에 지정 예고 대상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전 30권 판본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비교적 많은 양을 온전하게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 처음 공개되는 유일한 권수로 희귀성이 있는 귀중한 학술적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인쇄 상태도 뛰어나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문화재청은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과 ‘수능엄경의해 권9~15’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수능엄경의해 권9~15’
‘수능엄경의해 권9~15’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문화재청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