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향해 쏜 화살, 시주한 가사에 박혀

삽화=강병호

지금으로부터 154년 전.

황해도 안악군 안악면 고령산 연등사(燃燈寺).

연등사는 몇 년마다 큰 불사를 하는데 이번에는 가사불사(架裟佛事)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스님들은 각자 연고 있는 신도 집을 찾아다니면서 시주를 받았습니다. 어떤 집에서는 가사를 만드는 비단을 시주하기도 하고, 또 어떤 집에서는 쌀을 내고, 다른 집에서는 돈을 내고는 하였습니다. 그래서 절에서 수행하는 모든 스님들의 가사를 제작하게 되었지요. 절에서는 하루 두 번씩 설법을 하였는데 불공을 올리고 재를 지내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아 마치 절 입구가 저잣거리와 같이 붐볐습니다.

그 절로부터 얼마 떨어지지 않은 연곡마을 이춘화의 집에서도 가사 시주에 동참하였습니다. 불사에 참여하면서 춘화의 아내는 절간에 왕래를 자주하게 되었습니다. 춘화는 원래 포수로서 활과 총을 쓰는 재주가 비상하였습니다. 항상 험준한 산령을 오르고 내려 기질이 튼튼하고 성질이 거칠어서 무엇이고 세상에 무서운 것이 없었습니다.

“자손이 잘 되고, 부귀를 누리려면 연등사에 가사를 시주해야 합니다.”

뻔질나게 절에 다니는 아내의 간청에 마지못해 시주를 하고 있지만 여간 마땅치가 않았습니다. 그런데 또 절에 다녀온 아내가 바가지를 긁었습니다.

“오늘 스님이 그러시는데 살생을 많이 하는 사람은 단명횡사(短命橫死)의 업보를 받고, 또 자식을 기르기가 힘들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살생을 좋아하는 사람은 죽어 지옥에 떨어진다고 하니 우리도 이제 직업을 바꾸어 농사를 지으며 살도록 함이 어떠할까요?”

아내의 이야기에 춘화는 정말 기가 막혔습니다.

“하늘이 낸 모든 백성이 제각기 직업을 가지고 사는데 수렵을 그만 두면 당장 밥을 어떻게 먹고 산단 말이오. 호랑이 한 마리만 잡으면 3년 먹을 것이 일시에 나오는데 그까짓 농사를 지어 어느 세월에 입에 풀칠이나 하겠소. 그런 소리 말고 그만 절에나 작작 다니시오.”

그는 버럭 소리를 지른 후 뛰쳐나오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아내가 절에 갔다가 스님이 법문하는 내용이 너무 재미있어 그만 밤이 늦어 그곳에서 자게 되었습니다. 물론 동네 사람들도 여럿이 같이 잤지만 매우 불안했습니다. 불같은 성격의 남편 때문이었지요.

사냥을 나간 춘화가 돌아와 보니 밥그릇에 식은 밥만 담겨 있고 아내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 여편네가 또 절에 갔구나.”

춘화는 화가 상투 끝까지 치밀어 당장에 절로 뛰어가고 싶었으나 참고 견디었습니다. 그러나 밤이 깊어서도 부인은 영영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으흥, 이상한 일이다. 결국 그 연등사 요망한 스님들한테 홀리고 말았구나. 어떻게 아낙이 사지육신 멀쩡한 남편을 두고 집을 나가 밤을 샌단 말인가?”

춘화는 아내가 오기만 하면 금방이라도 잡아먹을 듯 손을 떨고 있었습니다. 이윽고 날이 밝자 아내가 고개를 푹 숙이고 들어왔습니다.

“스님 법문을 듣다 너무 늦어서 절에서 잤어요.”

그러나 춘화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미안해요. 용서해 주세요.”

평상시 춘화의 과격한 성미를 아는지라 부인은 상냥한 말씨로 이렇게 사과하고 물동이를 이고 우물로 나갔습니다.

춘화는 연등사와 스님들에 대한 증오심을 풀어낼 길이 없었습니다. “저런 바보 같은 아낙을 데리고 살다가는 또 무슨 꼴을 볼런지 모른다. 오늘 당장 죽여 없애 버려야지.”

분노에 눈이 먼 춘화는 총을 꺼내 들었습니다. 그러나 총은 소리가 나서 다른 사람에게 들킬까봐 대신 활을 꺼내 들고 방의 창문 구멍 사이로 화살을 겨눴습니다. 아내는 그런 줄도 모르고 물동이에 물을 가득 담아서, 머리에 이고 사립문 밖으로 돌았습니다.

“하나.”

“둘.”

“셋.”

그러나 춘화가 겨눈 화살들은 모두 허공으로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아내는 아무렇지도 않게 집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잘못 쏘았을까? 먼 산의 노루도 한 발이면 맞추던 난데.”

그는 다시 화살을 겨눠 쏘았습니다. 그러나 역시 아내는 태연히 물동이를 이고 집으로 들어와 부엌에 내려놓고 밥을 지었습니다.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밥을 다 먹고 난 춘화는 한편 미안하면서도 이상스럽다는 생각이 들어 아내에게 물었습니다.

“절이 그렇게 좋아?”

“좋은 게 아니라, 당신이 죄를 지으니 나라도 빌어야지요.”

“뭐?”

춘화는 다시 시기하고 질투하는 마음이 치솟았습니다.

“한 번만 더 절에 가면 죽을 줄 알아!”

그는 그렇게 소리친 후 화살을 찾으러 밖으로 나갔습니다. 자기가 쏜 화살이 아내의 살에 박히지는 않았으니 분명 주위에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리저리 찾아 다녔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도 화살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때마침, 그날은 가사불사가 끝나는 날이었습니다. 불자들이 각자 자기가 시주한 가사를 보자기에 싸서 그 가사를 입을 스님에게 증정을 하였습니다. 춘화 때문에 그 중요한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아내는 홀로 툇마루에 앉아 눈물 짓고 있었습니다. 한편 연등사 스님은 가사불사 마지막 날 독실한 춘화의 아내가 오지 않자, 그녀가 보시한 가사를 들고 춘화의 집으로 찾아왔습니다.

“아니, 스님!”

춘화의 아내는 미안한 마음에 덜컥 가슴이 내려앉았습니다.

“시주한 가사를 보여드리고 입으려고 가지고 왔습니다.”

주변에서 화살을 찾던 춘화는 그 모습이 매우 못마땅해, 화난 얼굴로 스님에게 대들었습니다.

“이제는 집까지 찾아옵니까?”

“여보!”

아내가 말렸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좋은 말로 할 때 빨리 가시우!”

“네. 그럼 그리 하지요.”

“다시는 우리 집사람을 꼬드기지 마시우.”

“네. 그렇다면 이 가사를 다시 돌려드리겠습니다.”

스님은 빙긋 웃으며 보자기를 풀었습니다.

아니, 그런데 스님이 꺼낸 그 가사에 화살이 3개나 박혀 있었습니다.

“아니!”

춘화는 놀란 입을 다물지 못하였습니다.

물론 스님과 아내도 얼굴빛이 하얗게 변하였습니다.

“이것이 웬일입니까?”

그렇게 물어본 건 오히려 춘화였습니다. 그 화살은 자기가 쏜 것이니까요.

“제가 회향에 참석치 않아 신장님들이 벌을 준 것입니다.”

아내는 마당에 엎어져 울었습니다.

그 모습을 멍하니 쳐다보던 춘화는 정신을 차리고 나서 눈물을 흘리면서 말했습니다.

“부처님의 신통은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다고 하더니 정말이군요. 내가 이 같은 신통을 믿지 않으므로 부처님께서 나를 교화하기 위해 베푸신 방편인가 봅니다.”

밤낮으로 아내가 불경을 외우는 소리를 들은 그는 자신도 모르는 새 부처님 가르침의 참뜻을 배우고 있었던 것입니다. 오직 사냥을 하기 위해 굳게 닫았던 마음이 확 열린 것입니다. 춘화는 아침에 있었던 자신의 어리석은 행동을 말하며 마당에 엎드렸습니다.

“어리석은 제가 거룩하신 부처님과 존귀한 연등사와 스님들, 그리고 착한 아내를 미워하여 화살을 세 개나 쏘았습니다. 제 아내를 죽이기 위해서 말입니다. 그런데 지금 아내가 스님께 바친 저 가사에 화살이 박혀있으니, 하늘이 부끄러워 제가 어찌 살 수 있겠습니까?”

그때 눈물범벅이 된 아내가 춘화의 손을 잡고 일으켰습니다.

“여보, 우리 연등사로 갑시다. 가서 함께 실컷 울도록 해요.”

그로부터 춘화는 사냥을 끊고 불도를 부지런히 닦아 황해도 제일의 신심 돈독한 불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5월이면 황해도 안악 고령산에도 이제 진달래가 지겠지요. 그곳과 마주한 여기, 강화의 고려산은 진달래가 만발(滿發)입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