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용사지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대 유물.<사진=불교문화재연구소>

10월 22일, 불교문화재연구소 현장설명회 개최
투조 금동귀면ㆍ금동불상 대의편ㆍ금동사자상 등

경주시 황용동 황용사지에서 통일신라 시대 유물 20여 점이 발견됐다.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는 10월 22일 오후 2시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조사성과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다.

경주 황용사지는 2018년부터 올해까지 3년에 걸쳐 시굴ㆍ발굴조사가 실시됐다. 이번 조사는 중심사역 서쪽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다. 조사결과 서탑을 중심으로 회랑ㆍ건물지ㆍ석축ㆍ석렬ㆍ진입부 등 많은 유구가 확인됐다.

유물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됐던 투조 금동귀면이 추가로 2점 더 출토됐고, 이와 더불어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ㆍ금동불상 대의편ㆍ금동사자상ㆍ금동연봉ㆍ금동촉대 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 점이 다량 출토됐다.

특히 투조 금동귀면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된 금동귀면과 비슷하지만 크기나 수염, 귀모양 등이 조금씩 다른 형태다.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부는 지금까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다. 이번 황용사지에서 처음 확인됐는데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이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 시대 보당과 비교하면 리움미술관 소장품이 73.8㎝인 것에 비해 황용사 출토 금동보당은 잔존해 있는 당간부와 지주부만 110㎝로 대형이며, 시기도 황용사 당간이 앞선다.

금동불상 대의편은 직경 30㎝가 넘으며 전체 비례로 볼 때 약 1m 이상의 대형 금동불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사자상은 2점이 출토됐다. 크기는 약 17㎝ 정도고 앞ㆍ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ㆍ용장사 출토품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촉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돼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경주지역 내 주요 사찰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았던 것을 보여준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013년부터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비지정)폐사지를 대상으로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다. 이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작해 올해까지 매년 추정사역 및 중심사역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왔다.

경주 황용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결과 황용사는 계곡을 따라 다단의 석축 대지를 축조한 후 상면에 건물들을 조성했던 산지형 가람으로 조선 시대까지 계속해서 번창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중심사역에는 쌍탑과 금당지를 비롯한 회랑과 축대ㆍ석렬ㆍ배수로ㆍ소성유구 등 다양한 유구들이 중복돼 확인되고 있으며, 투조 금동귀면을 비롯한 다양한 금동제 유물과 석불ㆍ소조불ㆍ용두편ㆍ쌍조문 암막새 등 희귀한 유물이 출토돼 황용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경주 황용사지는 통일신라 시대의 화려한 금속공예기술과 건축기술이 집약된 유적으로 확인된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고고학적 쾌거라고 볼 수 있다.”며 “지금까지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황용사지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ㆍ정비ㆍ복원 등이 이루어진다면 또 다른 경주지역 대표 불교문화유적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