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 집 정상화 위한 입장문 발표

조계종 교구본사주지협의회가 경기도 광주 나눔의집과 관련한 관계 당국의 조사 과정에 대해 “지난 30여 년 동안 이루어 온 ‘나눔의집’의 의미와 가치를 과도하게 훼손하고 송두리째 궤멸시키려는 의도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교구본사주지협의회(이하 본사주지협)는 7월 31일 ‘나눔의집 정상화를 위한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주지협의회 입장’이라는 제하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본사주지협은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와 경기도의 점검과 조사를 다 마쳤음에도 이 과정을 스스로 부정하듯이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을 만들어 기간을 연장하면서까지 조사를 실시했다.”며 “민관합동이라고는 하지만 전문성이나 객관성이 의심되는 ‘민간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사 과정에 있어서도 공정한 상호 의견 청취와 사실 관계 파악보다는 내부 문제 제기 당사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활동해 내부 제보자들의 ‘변호인단’은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라고 주장했다.

또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가 채 끝나기도 전인 7월 21일에 ‘나눔의집’ 임원진의 직무를 정지한다는 공문을 발송했다. 조사 결과도 밝히지 않은 채, 이미 문제가 있다는 결론과 짜여진 각본에 의한 것이 아니고는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나눔의집 운영 주체는 법인 이사진이다. 법인 이사진의 잘못이 있다면 이를 준엄히 지적하고 운영주체가 스스로 책임지고 바로잡도록 해야 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조사 결과도 밝히지 않고 운영 주체의 역할을 하지 말라고 결정하는 것은 경기도가 스스로 오해와 불신을 자초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본사주지협은 “나눔의집의 근본을 흔들고 훼손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것은 곧 불교계 전체를 훼손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지난 30년의 세월을 헌신과 동참으로 지켜 온 불교계 전체의 노력을 무시하려는 처사는 용납할 수 없다.”고 천명했다. 아울러 “나눔의집 임원진은 현 사태를 초래한 것에 대하여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지난 2개월 여 ‘나눔의집’을 둘러 싼 문제 제기와 조사가 진행됐다. 이 과정들이 지난 시기 어려움 속에 지켜왔던 ‘나눔의집’의 빛과 어둠을 공정히 가려내고 새로운 앞날을 위한 시간으로 가치 있게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음인 입장문 전문〉
<나눔의집>의 정상화를 위한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주지협의회 입장
-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라 -

<나눔의집>은 오랫동안 잊혀져 있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불교계에서 자발적으로 설립한 시설이다. 1990년대 초부터 불교인권위원회를 비롯한 스님들의 원력과 불교계의 동참으로 시작하여 1992년 어렵게 터전을 만들어 운영해 온 지 30년이 되었다.

<나눔의집> 내부 종사자들의 문제 제기에서 비롯된 언론 보도와 관계당국의 조사에 이르기까지 벌써 2개월이 지나고 있다. 최초 방송 보도를 전후하여 법인 이사진은 보도의 내용이 편파적이고 일방적인 주장에 근거한 것일지라도 이를 겸허히 수용하고 진상 조사와 함께 개선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현재까지 수차례 진행된 관계 당국의 조사 과정은 마치 결론을 정해놓은 듯 일방적인 것이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광주시와 경기도의 점검과 조사를 다 마쳤음에도 이 과정을 스스로 부정하듯이 경기도는 또 다시 이른바 <민관합동조사단>이라는 기구를 만들어 정해진 기간을 연장하면서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민관합동>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전문성이나 객관성이 의심되는 ‘민간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사 과정에 있어서도 공정하게 상호 의견을 청취하고 사실 관계를 파악하기보다는 내부 문제 제기 당사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활동함으로써 <조사단>이라기보다는 내부 제보자들의 ‘변호인단’은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이다.

더욱이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가 채 끝나기도 전인 7월 21일에 <나눔의집> 임원진의 직무를 정지한다는 공문을 발송하였다. 조사 결과도 밝히지 않은 채, 이미 문제가 있다는 결론과 짜여 진 각본에 의한 것이 아니고는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 임원진의 직무가 정지된 지금 이 순간 <나눔의집>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들은 누가 어떻게 책임을 질 것인가? 이미 문제 제기 당시부터 <나눔의집> 운영을 실질적으로 장악한 것으로 보이는 내부 제보자들에게 법인 운영을 맡기고자 하는 사전 포석인가?

<나눔의집>의 운영 주체는 법인 이사진이다. 법인 이사진의 잘못이 있다면 이를 준엄히 지적하고 운영주체가 스스로 책임지고 바로잡도록 해야 하는 것이 상식이다. 만일 30여 년 동안 헌신해 온 법인 임원진 자격을 박탈할 정도라면 그만한 근거와 절차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 어떤 조사 결과도 밝히지 않고 운영 주체의 역할을 하지 말라고 결정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경기도가 스스로 오해와 불신을 자초하는 것은 아닌지 적잖이 우려된다.

명확히 밝히건대, <나눔의집>은 승속과 종단의 구분 없이 모든 불자들의 원력이 담겨 있는 곳이다. 출발부터 현재까지 불교적 가치를 담아 불교계 전체가 소중히 보듬어 온 자산이다.

지금까지 <나눔의집>이 독립된 법인으로서 자체적인 운영 체제가 있기에 관계 당국의 조사와 처리결과를 지켜보고자 했다. 그러나 지금의 과정을 보면 지난 30여 년 동안 이루어 온 <나눔의집>의 의미와 가치를 과도하게 훼손하고 송두리째 궤멸시키려는 의도로 의심할 수밖에 없어 불교계 전체의 우려를 담아 입장을 밝히는 바이다.

<나눔의집>의 근본을 흔들고 훼손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것은 곧 불교계 전체를 훼손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지난 30년의 세월을 헌신과 동참으로 지켜 온 불교계 전체의 노력을 무시하려는 처사는 용납할 수 없다.

더불어, <나눔의집> 임원진은 현 사태를 초래한 것에 대하여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지난 2개월 여 <나눔의집>을 둘러 싼 문제 제기와 조사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들이 지난 시기 어려움 속에 지켜왔던 <나눔의집>의 빛과 어둠을 공정히 가려내고 새로운 앞날을 위한 시간으로 가치 있게 기억되기를 바란다.

2020년 7월 31일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주지협의회 일동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