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과 문화재청은 9월 2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를 공동 개최한다. 사진은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국립중앙박물관, 9월 27일까지
코로나19 확산방지 위한 온라인 전시도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새로 지정된 157건의 국보와 보물 중 83건 196점의 문화유산을 선보이는 사상 최대 규모의 전시회가 열린다. 전시되는 국보와 보물은 회화ㆍ서예ㆍ불교미술ㆍ도자ㆍ고고ㆍ문헌ㆍ서지학 등 다양한 분야가 망라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과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7월 21일부터 9월 2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기관ㆍ개인ㆍ사찰 등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문화재 대여 기관만 34곳이나 되는 만큼 한 자리에서 보기 힘들었던 다양한 종류의 국보와 보물을 선보인다. 전시회는 △역사를 지키다 △예술을 펼치다 △염원을 담다 등 3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1부 ‘역사를 지키다’에서는 우리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기록물을 소개한다. 국보로 승격된 <삼국사기>ㆍ<삼국유사>를 비롯해 472년간의 역사를 담은 <조선왕조실록> 등이 대거 전시된다. 특히 방대한 양의 실록을 ‘조선 인물 열전’, ‘조선의 위대한 유산’, ‘조선의 생활과 풍속’ 등의 주제로 나눠 미디어테이블에 담았다. 미디어테이블에서는 흥미로운 주제를 직접 선택하고 검색을 할 수 있는데, 검색을 마치면 물에 씻기듯 사라지도록 연출했다.

2부 ‘예술을 펼치다’는 우리 땅에 살던 사람들의 미의식이 담긴 예술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고려 초기 청자 제작을 보여주는 ‘청자 순화4년 명 항아리’를 시작으로 고려 상형청자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청자 투각 연당초문 붓꽂이’ 등 우리 흙으로 만들어진 공예품을 소개한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정선ㆍ신윤복ㆍ김정희ㆍ김득신 화가의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단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서화류는 3주 단위로 교체·전시되므로, 세부일정을 확인해야 한다. 이 밖에 전체 길이가 8.5m에 달하는 ‘강산무진도’와 ‘촉잔도권’을 별도의 공간에 함께 조성했다. 김준 작가가 구현한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끝없이 펼쳐진 강산을 감상하는데 몰입감을 더했다.

3부 ‘염원을 담다’에서는 선조들의 종교적 염원을 응축한 불교문화재를 선보인다.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와 불교 경전을 인쇄하기 위해 새긴 ‘묘법연화경 목판’,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 권장 등 불교 기록문화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외에도 ‘고려 천수관음보살도’,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불화와 불상도 함께 소개된다. 전시 공간에 소개되지 못한 거대한 석불이나 괘불 등은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196점의 국보와 보물을 만나고 나오면 우리문화유산을 가꾸고 지켰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또 과거의 문화유산을 넘어 미래의 국보와 보물에 대해 생각해보는 참여형 공간도 마련됐다.

이번 전시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도입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두 시간 단위로 관람인원을 200명으로 제한한다. 전시장을 직접 찾지 못한다면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www.museum.go.kr) 과 SNS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전시회 개최에 앞서 7월 20일 언론공개회에서 배기동 관장과 정재숙 청장은 “우리 문화재 가치를 절실하게 인지하고 소중하게 지켜나가고 싶은 바람에서 특별전 제목도 ‘새보물 납시었네’의 극존칭 화법으로 정한 것”이라며 “국보와 보물을 한자리에 모은 이번 특별전이 코로나19로 위축된 국민의 감성을 녹이고 따뜻한 위로의 선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과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7월 20일 오전 10시 언론공개회에서 전시실을 둘러보고 있다.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제327호), 백제 577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 <사진=국립중앙박물관>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2003호), 조선 1649년, 불암사 소장.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