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회랑 동편지구 조사내용 및 출토유물 수록

경주 황룡사지 회랑 외곽 발굴조사 내용과 출토 유물을 정리한 보고서가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3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Ⅱ-동회랑 동편지구〉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6차(1981년)와 8차(1983년) 조사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된 동회랑 동편지구 발굴 관련 내용이 담겼다.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는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총 8차례 발굴조사가 이뤄졌으며, 문화재청은 1984년에 사역 중심부(회랑 내곽) 발굴조사 결과를 정리한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을 발간한 바 있다.

조사구역은 동회랑 동편에 남북으로 길게 설치된 담장을 중심으로 구획된 공간이며, 면적은 약 4,300㎡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곳에서 황룡사 전체 사역의 외곽 경계로 추정되는 담장을 비롯해 크고 작은 담장으로 구획된 7개의 독립된 공간도 드러났다. 독립된 공간 내부에서는 각각 1~3개소 정도의 건물지가 확인됐고, 그 주변에서 기와·토기·등잔·벼루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보고서에는 건축 유구(遺構)의 구조와 배치도 함께 수록됐으며, 발굴 과정에서 출토된 벽돌·기와·토기·자기 등 신라와 고려시대 유물도 선별해 수록했다.

보고서에는 동회랑 동편지구의 구조와 성격에 대한 분석도 담겼다. 연구진은 이곳이 담장으로 구획된 폐쇄적인 공간이라는 점에서 고승이 거주하며 수행하는 공간이거나, 중국 당대(唐代) 다원식(多院式) 가람구조 사원에서 볼 수 있는 각종 의례 공간으로 추정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에는 40년 전 작성된 야장(野帳)·일지·도면·사진자료 등을 정리해 함께 수록했다.”며 “향후 진행하는 사역 북편(강당북편) 조사 내용을 담은 보고서가 추가되면 황룡사 전체 가람 구조와 외곽 영역의 성격이 더 분명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간한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Ⅱ-동회랑 동편지구〉는 국내외 국공립 도서관을 비롯해 국내 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에 배포됐으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누리집(http://www.nrich.go.kr/gyeongju)에서 열람할 수 있다. 

경주 황룡사지 회랑외곽 발굴조사 모습 전경 <사진=문화재청>
동회랑 동편지구 내 건물지 모습.
회랑 외곽에서 발굴된 등잔.
경주 황룡사지 조사 야장 중 일부.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