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일 낮 12시 광화문 중앙광장에서 ‘제주 4.ㆍ사건 71주기 추모재’가 봉행됐다.

조계종 사회노동위, 71주기 추모재 봉행

제주 4ㆍ3사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회심곡이 서울 광화문 광장에 울려 퍼졌다.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위원장 혜찬 스님, 이하 사회노동위)는 4월 3일 낮 12시 광화문 중앙광장에서 ‘제주 4ㆍ3사건 71주기 추모재’를 봉행하고, 제주 4ㆍ3 항쟁 희생자의 극락왕생을 발원했다. 이날 추모재는 중요무형문화재 50호 영산재 이수자 동환 스님의 집전으로 한 시간 가량 진행됐다.

추모재에 앞서 행사에 참석한 스님들은 제주 4ㆍ3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제주 4ㆍ3특별법 개정안 통과에 뜻을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조계종 사회부장 덕조 스님은 추모사를 통해 “오랫동안 제주 4ㆍ3사건은 제주에서조차 섣불리 꺼낼 수 없는 금기어였다.”면서 “살아남은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위로받지 못한 채 거짓된 침묵 속에 묻혀야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스님은 “일흔 한 번째 제주 4ㆍ3의 봄을 맞은 지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는 특별법 개정안을 조속히 심의해 유가족들의 70여 년 한을 풀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사회노동위원장 혜찬 스님 또한 추모사에서 “화해와 상생이라는 것은 용서와 사과가 뒤따라야 하는 것”이라며 “항쟁에 대한 정확한 진상과 배ㆍ보상이 분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제주 4ㆍ3 범국민위원회 주관으로 불교의 제주 4ㆍ3항생 희생자 추모재에 이어 원불교ㆍ천불교ㆍ천도교ㆍ개신교 등 5대 종단의 추모의식이 7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한편 제주 4ㆍ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4ㆍ3사건 기간 중 스님 열여섯 명과 제주도 주민 3만여 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 4ㆍ3사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스님들의 바라춤과 범패 소리가 서울 광화문 광장에 울려 퍼졌다.
조계종 사회부장 덕조 스님이 추모사를 하고 있다.
사회노동위원장 혜찬 스님이 추모사를 하고 있는 모습.
천도재는 중요무형문화재 50호 영산재 이수자 동환 스님의 집전으로 진행됐다.
제주 4ㆍ3 항쟁 희생자의 유가족들이 극락왕생을 발원하며 절을 올리고 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