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삶이 국제화로 숨 가쁘게 변화돼 가는 시점에서 청소년에 대한 교육관도 달라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계의 교육기관은 저마다 “청소년을 우등생으로 키우려 하기보다 세계시민의식을 갖춘 인재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말은 향후 미래사회는 건전한 가치관이 인간의 삶을 지배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여전히 이념과 물질에 의한 갈등과 대립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방송사 BBC는 올해 전반기에 세계 각국의 갈등지수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갈등요인으로는 정치적 견해차가 61%로 나타나 가장 컸습니다. 다음으로는 빈부갈등이 44%를 차지했습니다. 이어서 세대갈등이 25%, 남녀갈등이 24%의 수치를 보였습니다.
타인을 어느 정도 믿는지를 나타내는 ‘신뢰’ 수준 역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세계 각국의 전체 평균은 24%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그 절반 수준인 12%로 나타났습니다.
삶의 기반을 물질에 두고 있는 물질적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비단 BBC의 조사만이 아니었습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본부를 두고 있는 세계가치관 연구기관이 조사한 결과에서도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물질적 가치관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분석하면 우리나라는 자신과 다른 생각·문화·사회성 등에 대한 관용도가 매우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물질에 대한 심화와 집착현상이 높아 그릇된 자본주의 인식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인식과 현상에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기란 어렵습니다. 21세기 미래사회에서 ‘나’만 또는 ‘우리’만 잘 사는 것을 추구하면 곧 한계에 부닥치게 됩니다. 전세계가 한 울타리가 되어 가는데 ‘나’와 ‘우리’만 고집하게 되면 그것이 곧 갈등과 대립구도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서로 다를지라도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는 공생과 상생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한국인들은 외국에서 자국의 한국인이 차별받는 것에 대해서 격분합니다. 그러면서도 정작 국내에서 외국인이 한국인에 의해 부당한 차별을 받는 것엔 관대합니다. 이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정당한 가치관이 분명히 아닙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차별과 물질에 의한 갈등구조를 없애나갈 수 있겠습니까? 〈잡보장경(雜寶藏經)〉에 다음과 같은 장면이 나옵니다.
부처님이 기원정사에 머물고 계실 때 한 바라문이 찾아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게 하나도 없습니다. 무슨 연유가 있는 것입니까?”
부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당신이 다른 이에게 아무 것도 베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바라문이 다시 묻습니다.
“저는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는 빈털터리입니다. 가진 것이 있어야 베풀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러자, 부처님은 친절하게 바라문에게 답하셨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비록 가진 재산이 없어도 베풀 수 있는 7가지가 있으니 잘 들으십시오. 첫째는 화안시(和顔施)로서 항상 부드러운 얼굴과 미소로 남을 대함이요, 둘째는 언시(言施)로서 남을 칭찬하는 말, 위로하는 말, 격려하는 말, 양보하는 말의 부드러운 말로 상대를 대함이요, 셋째는 심시(心施)로서 마음의 문을 열고 따뜻한 마음을 주는 것입니다. 넷째는 안시(眼施)로서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상대방을 바라보는 것이요, 다섯째는 신시(身施)이니 몸으로 상대방에 이로움을 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무거운 짐을 들어주거나 거동이 불편한 이를 위해 도움을 주는 것들입니다. 여섯째는 좌시(坐施)로써 앉을 자리를 양보하여 내어주거나 쉬어갈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요, 일곱째는 찰시(察施)이니 굳이 묻지 않더라도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도와주는 것입니다. 당신이 이 일곱 가지를 헤아려 몸소 행하고 실천하여 습관이 된다면 당신은 하는 일마다 성취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이 말씀을 경전에선 무재칠시(無財七施)라 합니다. 재산이 없더라도 얼마든지 다른 이를 위해 베풀 수 있는 7가지 보시를 일컫습니다. 무재칠시는 더불어 살아야 하는 삶의 가치관에서 매우 중요한 실천덕목입니다. 비록 재산이 없는 상황에서 뿐 아니라 생각이 다르고 문화가 다른 사람이라 할지라도 이와 같은 칠시를 몸소 행한다면 누구와도 갈등을 일으키거나 대립을 부를 상황은 없을 것입니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얼굴을 찌푸려 싸우게 되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사람관계 때문에 의기소침해지고 힘들게 사회생활을 하는 이들 또한 적지 않은데 먼저 무재칠시부터 실천해보기를 권합니다.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항상 환한 얼굴과 부드러운 말로 상대방을 대한다면 서로가 즐겁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대지를 환하게 비추는 게 태양이듯이 우리 사회를 맑히고 건강하게 만드는 것은 작은 미소에서 비롯됩니다. 가진 게 없어도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무재칠시를 생활화합시다. 그러면 우리가 함께 기뻐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