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탈문(264호)

고향으로 가는 길 끝에는 흰 구름만 흘러가고…

고리등무주 故里燈無主
타방보수최 他方寶樹摧
신령거하처 神靈去何處
옥모이성회 玉貌已成灰
억상애정절 憶想哀情切
비군원불수 悲君願不隨
숙지향국로 孰知鄕國路
공현백운비 空見白雲飛

고향집 등불은 주인을 잃고
객지에서 보배나무 꺾이었네.
영혼은 어디로 떠났는가.
옥 같은 모습 이미 재가 되었으니
생각은 멀수록 애처로운 정은 더하고
그대 소원 못다 이룬 그것이 슬프네.
누가 고향으로 가는 길 알 것인가.
부질없이 흰 구름만 흘러가네.

필자는 오래전부터 시를 ‘말씀(言)의 도량(寺)’이라 설명해 왔다. 단순히 한자를 파자(破字)한 것이 아니다. 시가 가지는 예술적 기능은 물론 도덕적 염결성이나 사회적 계몽 기능 등을 두루 생각할 때, 한 편의 시는 하나의 도량이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도량이란 절이라는 공간적 의미를 넘어서는 개념이다.

말씀의 도량은 언어로 지은 사원이다. 글을 읽을 줄 알면 누구나 드나들 수 있다. 말씀을 잘못 하면 지나치게 경직되거나 배타적일 수도 있지만, 말씀을 잘 운용하면 많은 사람에게 힘을 주고 희망을 주는 평온한 곳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은 전적으로 말씀의 운용자인 시인의 재량에 달렸다. 시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 혹은 방식의 차이도 각양각색이어서 말씀의 도량을 드나드는 사람[독자]의 개별성도 무시할 수 없다.

더러 시를 읽다 보면 아주 청정한 절집 마당에 서 있는 듯한 감동을 받을 때가 있다. 한 편의 시를 통해 긴 사유에 빠질 때도 있다. 시가 주는 감동 혹은 사유의 여백도 말씀의 도량에서 세상과 삶을 관조하는 수행의 한 과정이다.

앞에 예시한 시는 혜초(慧超, 704~787)의 작품이다. 〈왕오천축국전〉에 실려 있다. 잘 알려진 대로, 1300년의 침묵을 뚫고 돈황 막고굴 제17번째 굴 ‘장경동(藏經洞)’에서 나온 두루마리가 〈왕오천축국전〉이다. 여러 나라 여러 고을에 대한 견문록은 물론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고행길에서 건져 올린 시편들이 세계적 보물로 인정되고 있다.

예시한 시의 제목은 ‘哀北天竺那揭羅耶寺漢僧死’인데, 시인 석지현 스님은 〈선시감상사전〉(민족사)에서 ‘나그네의 죽음’이라 번역하였다. 원 제목을 보면 이 시는 북 인도지방의 한 사원에서 죽음을 맞이한 중국 승려를 애도하며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단한 순례자의 마음에 비친 한 승려의 죽음이 생사의 근원을 생각하게 하는 깊은 울림으로 승화되고 있다. 순례자 혹은 나그네라는 이름은 살아 있는 모든 존재에 해당된다. 삶이라는 이 여정에서는 너도 나그네이고 나도 나그네이다. 우주라는 이 공간 속에서 순례자 아닌 존재가 없고 생과 사의 과정에 놓이지 않은 것이 없다.

그래서 객지의 한 절에서 생을 마감한 이국의 승려를 통해 자신의 존재성을 응시하는 혜초의 심정은 매우 건조하면서도 아름답게 촉촉하고, 슬프면서도 비장하기도 하다. 혜초가 지은 한 편의 시, 이 말씀의 도량에서 우리가 들어야 할 ‘말씀’의 핵심은 무엇일까? 7구의 ‘고향’은 객사한 승려의 고향이 아니라 모든 존재의 근원일 것이다. 그리고 8구의 부질없이 흘러가는 흰 구름에 주목하자. 그 의미의 끝이 일체의 무상을 설파한 부처님의 말씀으로 이어져 있다. 고향으로 가는 길의 끝에 부질없이 흘러가는 흰 구름이 있다는 것, 그것이 바로 반야부 경전이 설하는 공(空)이 아니겠는가.

교통과 통신이 첨단으로 발달한 이 시대에도 ‘혜초의 길’은 고행길이다. 하물며 1300년 전 혜초가 걸었던 구도 여정은 어떠했을까? 그 척박한 길에서 보석 같은 말씀의 도량을 지은 혜초의 지혜가 존경스럽기만 하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