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 통해 안정 찾으며 ‘신의 몸’만들기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몸과 마음의 건강’, ‘자연친화적 삶’, ‘여유로운 삶’ 등의 가치를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을 갈구하고 있다. 우리 사회도 이미 웰빙 열풍이 시작되어 명상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사전적 의미의 명상(冥想)은 “고요히 눈을 감고 깊이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이라 정의하고 있다. 요즘 우리는 명상이라는 단어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며 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명상을 실천, 수행하기는 그리 쉽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끊임없는 인식의 흐름 다스리기

명상은 라틴어로 ‘메디타티오(meditatio)’라고도 한다. 모든 생각과 의식의 기초는 고요한 내면의식이며 명상을 통하여 순수한 내면의식으로 자연스럽게 몰입하게 된다. 이러한 수행법은 힌두교나 불교, 도교 등의 동양종교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특히 힌두교에는 다양한 명상법이 있으며, 요가의 입장에서 보는 명상은 여러 단계를 거쳐서 행해진다. 수행 체계를 보면 8안가(Anga) - 야마(Yama), 니야마(Niyāma), 아사나(Āsana), 쁘라나야마(prāṇāyāma), 프라티아하라(Pratyāhāra), 다라나(dhārṇā), 디야나(Dhyāna), 사마디(Samādhi)이다. 먼저 윤리적인 가르침을 지키며 몸을 수행하는데, 주로 몸을 부드럽게 만드는 체위법을 행한다. 체위법은 명상에서 가장 중요한 바른 호흡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바른 호흡은 복식으로 될 수 있는 대로 천천히 들이마시고 내쉬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외적인 수행을 거치면 내적인 단계에 이르게 되는데, 모두 3과정으로 나뉜다.

요가에서 명상을 의미하는 것은 ‘디야나(Dhyāna)’이다. Dhyāna는 ‘마음을 떠올리다, 생각하다, 생각에 빠지다, 숙고하다, 명상하다’를 의미하며 넓게는 다라나(dhāraṇā, 집중)와 사마디(samādhi, 삼매)를 포함한다.

‘다라나(dhāraṇā, 集中)’는 한 장소, 대상 혹은 생각에 마음을 고정하는 것이다. 찌따(citta), 즉 마음의 총체가 한 가지 혹은 한 장소를 목표로 해서 고정시켰을 때 이것을 ‘다라나 상태’라고 한다.

디야나(Dhyāna, 冥想)는 그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인식의 흐름이다. 경전들에서는 ‘지속적인 흐름’이란 뜻을 한 단지의 기름을 다른 단지로 옮겨 붓는 것과 같다고 설명한다. 우리가 명상한다고 말하는 것은 dhāraṇā를 말하며 dhāraṇā의 오랜 수련이 지속되어 ‘인식의 흐름’이 더 길어지게 되면 그것이 Dhyāna가 되는 것이다.

사마디(Samādhi, 三昧)는 마치 대상의 형태가 없는 것처럼, 대상만이 빛날 때 명상 그 자체와 하나가 되는 것이다. 명상에서는 명상자, 명상 그리고 명상하고자 하는 대상을 갖는다. samādhi에서는 대상도 명상자도 없이 “내가 그것에 대한 명상한다”는 느낌조차도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요가 경전인 〈Yoga-Sūtra〉에서는 “Dhāraṇā, Dhyāna, Samādhi를 하나로 하는 것이 총제(總制, 삼야마)”라고 정의하고 있다.

삼야마는 sam(함께, 모두)이라는 말과 yama(제어하다, 억제하다)라는 단어의 복합어로 ‘함께 또는 모두 제어 또는 억제하다’라는 말로 풀이할 수 있다. 삼야마란 8지요가의 체계에 있어 ‘의식의 집중’에 관련된 것으로 Dhārṇā, Dhyāna, Samādhi 이 세 가지 모두 동일한 대상에 대해 흐트러진 마음을 ‘제어하여’ 집중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삼야마는 동일 대상에 대한 하나의 정신 심리적 연속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힌두교에서 해탈(解脫) 혹은 깨달음으로 불리는 상태이다. 불교의 명상법은 요가의 영향을 받았으며 각 종파에 따라 다르다. 선종(禪宗)에서는 모든 잡념을 떨어버리고 공(空)이나 무심(無心)의 상태인 무념무상(無念無想)을 목표로 삼았다. 밀교에서는 관심(觀心) 혹은 관찰이라고 하며 명상을 통하여 신들이나 부처의 세계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도교(道敎)에서는 명상 수행을 통해서 영원무궁의 세계로 통하는 진인(眞人)을 수태하여 도(道)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여겼다.

명상 상태의 유지와 자세

명상은 명료한 의식의 영역이 확대되어 가는 상태인데 이러한 명상상태를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명상수련에 필요한 자세가 필요하며 이것이 바로 요가의 좌법(āsana)이다. 또한 좌법이 명상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좌법으로 앉으면 호흡이 느려지고 마음이 안정된다. 호흡과 마음에 대해서 〈하타요가 프라디카(haṭha yoga pradīikā)〉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마음작용이 멈추면 쁘라나(prāṇa)의 작용도 멈추고, prāṇa의 작용이 멈추면 마음작용도 멈춘다. prāṇa가 작용하는 곳에 마음이 작용하고, 마음이 작용하는 곳에 prāṇa가 작용한다. 둘 중의 하나가 정지 하면 다른 쪽도 정지한다. 한 쪽 작용이 일어나면 다른 쪽도 작용이 일어난다. 둘 다 작용을 멈추지 않으면 감각기관은 대상을 향해 계속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 둘의 작용이 없어져야 해탈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흡과 마음의 관계로 알 수 있듯이 좌법으로 앉으면 호흡이 느려지면 마음이 안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상수행을 위해 머리, 목 등을 똑바로 세운 좌법은 호흡을 편하게 해줄 뿐 아니라 우리가 키우려고 하는 주의집중력, 자신감, 자아 수용감, 자아 효능감과 같은 내면의 성장도 높여준다. 그리고 바닥에 앉으면 ‘기초가 든든하다, 기초가 확고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스스로 명상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런던의 한 연구소에서 과학실험을 한 결과 명상을 하지 않고 파드마아사나(Padmāsana)로 앉아 있기만 해도 뇌파에 변화가 즉각 일어나 이완되고 고양된 각성의 징조와 함께 뇌파가 불안하고 빠른 베타리듬(β파, 작업 중의 상태)에서 잔잔하고 좀 더 느린 알파리듬(α파, 안정, 휴식의 상태)으로 바뀌는 것이 감지되었다. 파드마아사나(Padmāsana)로 앉으면 외부자극에 훨씬 적게 반응하며 보통의 자세로 앉아 있는 사람들보다 더 깊이 집중할 수 있었다. 파드마아사나(Padmāsana)로 앉아 있기만 해도 마음이 내부로 향하고 집중이 쉽게 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밝혀진 것이다. 이것은 몸에 미치는 발꿈치의 압력이 생식기와 배설기관을 맡고 있는 낮은 에너지 중심부(cakra,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생식기와 배설기관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허리뼈와 척추 신경망)에 영향을 주어 이들 기관의 작용이 일시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기관들이 이용하는 에너지가 위로 향하여 마음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마음을 확장시킨다.

요가를 실시하기에 앞서 눈을 감고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눈을 뜨게 하면 뇌파의 파형변화는 알파파(α파)가 현저하게 감소한 반면에 베타파(β파)의 출현이 높아진다.

먼저 눈을 감는다는 것은 생리적으로 그 합리성을 알 수 있다. 인간이 물건을 볼 수 있는 것은 물건을 통하여 눈동자의 시각 중추에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고, 물건을 인식하는 것은 인식 중추가 그 존재를 인식하고 다시 간뇌에 이르는 신경로를 통하여 물건의 색채, 농담 등 외부의 자극이 간뇌의 중추신경에 미쳐 이 영향이 뇌하수체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이 호르몬의 영향이 부신이나 심장으로 전달됨으로써 심정의 동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마음의 동요를 막는 데는 눈을 감는 것이 좋다.

호흡과 마음의 안정 그리고 의식의 집중

좌법을 행하면 호흡이 안정되고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마음이 평온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정의 동요가 심한 상태에서의 호흡은 매우 산란해지고, 반면 어떤 일에 집중하고 있을 때의 호흡은 매우 고요하다. 호흡이 고요해진다는 것은 육체적인 작용이 매우 적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쁘라나야마(prāṇāyāma)는 호흡의 들고 남이 자연스럽게 끊어지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인간이 생명을 가지고 있는 한 할 수밖에 없는 호흡작용을 자연스럽게 정지함으로써 신체의 움직임과 기능이 극단적으로 낮아지는 반면 의식의 집중작용은 강화되게 하는 것이다. 좌법으로 앉아 있으면 호흡이 안정되고 마음은 안정이 되어 의식의 집중이 강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좌법이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가 될 때까지 명상을 미룰 필요는 없다. 좌법이 어렵고 힘든 자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척주를 바르게 하고, 몸을 편안하게 하며, 정묘한 에너지를 집중시켜서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하며, 호흡이 안정되고 완만해지며, 마음이 고요하고 명료해지는 앉은 자세는 많다.

이상이 우리들 각자를 해탈에 이르게 하는 요가 행법(Samashti yoga)이자 명상수행 과정인데, 이는 인간 삶의 진정한 성취와 더불어 우주 창조에 대한 과학을 구명해주는 길이다. 바로 신체(身體)를 신체(神體)로 변화시켜가는 ‘신아(神我)의 과학(科學)’이다.

임동호

대전대학교 철학과를 나와 인도 뿌네대학교 대학원에서 요가전공으로 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타요가 경전의 구성과 수행체계-하타요가프라디피카, 시바삼히타, 게란다삼히타를 중심으로> 등 요가 명상 관련 논문과 다수의 저서가 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