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대중공사서 100인 위원 토론
195명 중 70명 참석해 지적 이어져

‘수행풍토 진작과 승가공동체 회복’이라는 주제로 9월 23일 공주 한국문화연수원에서 진행된 제7차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이번 대중공사는 소주제 3개를 놓고 승ㆍ재가로 나눠 총 6개 모둠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주제는 △승가청규를 중심으로 본 바람직한 승가상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승가공동체 △범계행위에 대한 승가공동체의 대응방안 등이었다.

먼저 ‘승가청규를 중심으로 본 바람직한 승가상’에서 스님들은 승가의 현실 문제로 포살의 진정성 부족ㆍ고령출가(재산 소지)ㆍ승가의 미약한 자정능력ㆍ돈과 권력에 집착 등을 지적했다. 사회가 원하는 것은 종교의 순수성, 청정성 등 곧 청빈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명확한 징계ㆍ청규의 대중적 실천 등을 제안했지만 승려 개인의 소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같은 주제에 재가자들은 적극적인 실천을 주문하는 청규의 방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원론적인 내용을 넘어 구체적인 실천지침으로 다가가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특히 청규의 핵심을 간추려 소책자로 수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승가공동체’에서 스님들은 현재 청정성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고 봤다. 과거에 비해 승려복지제도가 개선됐지만 아직 많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출가자가 급감하고 고령화되고 있기 때문에 전문 인력이 사장되지 않도록 원칙 있는 인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재가에서는 △승풍 개선을 위한 법당문화 개선 △지역 특성화 및 거점화 △‘요람에서 무덤까지’와 같은 21세기 사찰모델 개발 등을 제안했다.

‘범계행위에 대한 승가공동체의 대응방안’에서 스님들은 수용(참회) 가능한 범계와 바라이죄 등의 수용할 수 없는 범계를 구분해야 한다고 밝혔다. 참회원 같은 기구를 통해 안거 정진을 강제하는 등 승려 개인의 위의에 관련된 문제는 참회로써 해결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재가자들은 호법부ㆍ호계원 등 사법기구의 독립성과 전문성 강화, 불자고충처리위원회(가칭)와 같이 교단 내부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절차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대중공사는 총 70명의 위원만이 참석해 역대 최저 참석률을 보였다. 회를 거듭할수록 신규 위촉 위원이 늘어 총 인원은 195명이 됐지만 참석률은 낮아지고 있다. 2차 대중공사 당시 176명 중 참석 108명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3차 114명, 4차 111명, 5차 106명, 6차 93명 등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위원들의 관심이 급감하고 있어 일각에서는 대중공사가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