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 ‘통일담론’이 불고 있다. 통일부를 비롯한 몇몇 기관이 젊은 세대들이 통일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겠다며 상호 업무협약을 맺는가 하면, 모 단체는 탈북 청년들과 남한 청년들이 한자리에 모여 통일을 준비하도록 아카데미를 개설했다. 또 산림청과 한국도로공사는 ‘통일 후 북한 도로변에 조경수를 심겠다’며 ‘통일희망나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모두 박근혜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언급한 이후 벌어진 일들이다.

통일에 대한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점은 공감한다. 하지만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너나할 것 없이 ‘잘 보이기식’ 행정을 펴는 것은 옳지 않다. 정부의 섣부른 움직임에 벌써 통일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휴전선 부근 땅값이 들썩인다는 소식이 들린다. 그동안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어내는 데는 종교계 특히 불교계의 역할이 컸다. 통일에 대한 준비도 불교계의 역할이 그 누구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과거 불교계의 남북교류는 성과가 적지 않았다. 천태종은 2002년 가을부터 3년 간 개성 영통사를 복원했고, 이후 2007년 7차례에 걸쳐 5,000여 명이 성지순례를 다녀왔다. 이외 매년 의천 대각국사 열반 다례재를 영통사에서 남북 합동으로 봉행하는 등 지속적인 교류를 펼치고 있다. 조계종도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발생 전까지 신계사 성지순례를 진행했고, 당시 내금강 불교유적 공동조사 등 다양한 남북교류 사업을 계획 중이었다. 이런 활발한 불교교류가 먼저 재개돼야 한다.

최근 주요 불교계 종단들이 중국 심양에서 조선불교도연맹과 만났다하니 연초 천태종이 희망한 개성 3사 순례 등 남북불교 교류사업이 다시 활기를 띨 수 있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