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겨울을 녹이는 해동(解凍)의 기운이 제법 느껴지고 있는 시점입니다. 꽁꽁 얼었던 겨우내 추위에서 화사한 봄꽃이 피기를 바라는 마음은 누구나 갖는 인지상정일 것입니다. 봄꽃이 봉우리를 피우면 벌과 나비가 찾아와 자연의 섭리와 평화를 펼쳐보이게 됩니다. 계절은 자연의 현상을 통해 이러한 가르침을 우리에게 일깨워 줍니다. 하지만 인간들은 스스로 자신들을 억압하고 희롱합니다. 봄날의 삶을 겨울의 혹한 삶으로 몰고 갑니다.

최근 한 전문기관에서 직장인을 상대로 직장 내 언어폭력에 관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직장 내에서 직장인 67%가 언어폭력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언어폭력의 종류는 인격모독발언이 69.9%로 가장 많고 호통 및 반발이 62.5%, 비하적 발언 51.9%, 협박 및 욕설이 28.9%, 거짓 소문을 퍼뜨림이 21.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누가 직장에서 이러한 언어폭력을 일으키고 있을까요? 상사가 7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CEO나 임원의 언어폭력 수치도 27.9%였으며, 같은 동료들에게서도 17.2%의 언어폭력이 자행됐습니다.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따지자면 실로 가벼이 넘겨야 할 사안이 아닙니다. 언어폭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심각한 정서적 상처를 남겨 모욕감과 불쾌감, 분노와 슬픔을 유발합니다. 자아존중감에 상처를 입게 됨으로써 불안감과 적대감을 불러오게 되고 심할 경우 자살과 살인을 저지르게 하는 매우 중대한 사회적 문제요인을 안고 있는 것입니다. 유명연예인이 어느 날 자살을 했다는 보도를 접하게 되면 그 이면엔 악성 댓글, 즉 언어폭력이 있었습니다. 군부대 내에서 신병이 무기를 탈취해 소동을 벌이게 되는 배경엔 선임병의 언어폭력이 원인이라고 밝혀진 예가 적지 않습니다. 이처럼 언어가 폭력으로 사용될 때엔 예기치 않게 대형사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언어폭력의 폭발성은 상상 이상으로 나타납니다.

불전은 그래서 말과 관련된 폭력성에 대해 이렇게 경계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입안에 도끼를 가지고 나온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사람들은 말을 함부로 해 그 도끼로 자기 자신을 찍고 만다.”

이 말은 남을 기망하고 속이는 말을 하게 되면 결국 자기 자신에게 깊은 상처를 내게 된다는 뜻입니다. 즉 날카로운 비수만이 칼이 아니라 음해와 상대를 비하하는 사람의 말이 곧 날카로운 무기, 설도(舌刀)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불교에서는 지옥 가운데 발설지옥(拔舌地獄)이 있습니다. 입으로 온갖 악업을 행한 사람들이 죽어서 가는 지옥을 말합니다. 발설지옥은 거짓말을 많이 하고 상대를 음해하고 모략하여 고통을 안겨준 죄가 크다고 여겨 혀를 뽑아놓고 간다고 합니다. 듣기에 섬뜩하지만 그만큼 입으로 짓는 죄를 중히 여기는 불교의 가르침이 담겨 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미워하는 마음이 있으면 자신에게 어떤 해악이 오더라도 상대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방법 찾기에 골몰합니다. 〈자타카〉에 비슷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한 사나이가 있었습니다. 그는 어떤 사람을 몹시 미워했습니다. 어떻게 해서든 그를 해치고 싶었으나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는 그 일로 인하여 더욱 괴로워했습니다. 그 때 한 사람이 그에게 말했습니다. “당신은 왜 언제나 그렇게 시름에 잠겨 있는가? 무슨 일인지 말해보라. 어쩌면 좋은 방법이 있을지 모른다.” “어떤 사람이 있는데 그는 언제나 나를 헐뜯고 모함한다. 그러나 내 힘으로는 그에게 보복할 수 없다. 그러니 내가 속이 편하겠는가. 그 방법을 몰라 더욱 속이 상한다.”

이 말을 들은 사나이는 말했습니다. “방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사흘 밤낮을 비타라 주문을 외우면 그를 해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걱정이 있다. 그 주문은 남을 해치기도 하지만 자신도 해치게 된다. 그래도 하겠는가?” 사나이는 그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며 말했습니다. “내게 그 주문을 가르쳐 달라. 비록 일이 잘못돼 스스로를 해치는 경우가 생긴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이 내용은 ‘비타라 주문’이 상대와 나를 동시에 해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함께 망가져도 좋다는 사나이의 말을 통해 인간의 어리석은 이기심을 경계하고 있는 것입니다.

불교는 다른 종교와 달리 말에 대한 의미를 특별히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부처님을 ‘진어자(眞語者)’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부처님 말씀이 진실 그 자체이고 진리란 것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선 화합과 평화의 공동체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경계가 바로 진실과 자비스런 말의 사용이라는 가르침이 놓여 있습니다. 부처님 재세당시 승가공동체가 화합과 평화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은 ‘진실된 말’에 있었고 ‘사랑스런 말’[愛語]에 있었습니다.

올해 우리 사회와 직장, 학교에서 더 이상 언어폭력의 희생양이 나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러기 위해 진실된 말, 사랑이 듬뿍 담긴 말로 소통하는 사회가 되도록 불자들이 앞장 서 노력합시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