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에 집중된 불교계 이목
교육현장 선교문제 해결위해
교육감 선거도 주목해야

대통령을 뽑는 대선에 가려져 서울시 교육감 선거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른 종교계와 마찬가지로 불교계도 여러 대선 캠프에 요구 사항을 전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놓치기 쉬워 반드시 살펴 챙겨야할 것 중의 하나가 대선과 동시에 치러지는 서울시 교육감 선거다. 많은 학생수를 생각할 때 매우 중요한 자리이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는 민주진보 단일후보인 이수호와 더불어 보수진영의 문용린 후보 등 총 5명이 출마했다. 교육감 선거는 얼핏 보면 불교계와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여 불교계는 교육감 선거에 대하여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초·중·고의 교육이 우리사회의 미래를 담당할 세대에 대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닌 초·중·고 공교육기관에서의 일부교사들의 특정종교 활동과 선교활동은 결코 가볍게 볼 상황이 아니다. 성인이 되었을 때 가지게 될 기본 가치관과 시각을 결정하는 이 시기의 중요성에 대하여 누구나 공감한다면, 이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인 것이다. 국가 지원을 받고 있으면서도 교육의 공공성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이고, 그동안 종교자유정책연구소 등에서 미력하나마 이런 우려스런 상황에 대한 감시기능을 유지해 오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실상은 밖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

간혹 일부 사례가 겉으로 드러나 뉴스에 보도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3천명이 넘는 기독교 교사들과 15개 이상의 기독교사모임이 연대하여 펼치고 있는 ‘좋은 교사모임’ 등은 교육현장에서 직간접적으로 어린 학생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있는 셈이다. 다시 말하면 학생들을 편견 없이 키워야 할 학교 현장에서 일방적으로 어린 학생들에게 특정 종교관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사람들의 삶의 일부인 종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종교에 대한 객관적 설명은 필요하지만, 점차 강화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의 특정 종교를 위한 왜곡된 선교활동은 매우 잘못된 것이고 이는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

이번 교육감 후보들에게 이 문제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면 진보, 보수 어느 쪽이건 원론적으로 찬성하나 구체적 대안은 보이지 않는다. 수적으로 많은 기독교 신자들을 의식해서 문제점에 대한 직면과 해법 제시를 피하고 있는 듯 보인다.

더욱이 해방 후 미국과의 유착관계에서 형성된 우리사회의 기득권층이 대부분 기독교인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특정종교에 대한 사회 분위기는 상식적이지 않다. 정치인들의 기독교 선호 발언이 공공연하게 보도되고 있고, 심지어 공정함이 무엇보다 중요한 대법관을 모두 기독교인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여당 정치인의 발언이 아무런 문제없이 자연스럽게 수용되는 사회가 되었다.

불교계가 종파를 떠나 이런 현실에 대해 강력히 문제제기를 하고, 정부나 교육감에게 구체적 개선책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단지 불교라는 종교의 입장을 넘어 공정사회를 위한 당연한 요구이자, 진정한 학생 인권 보호이기 때문이다. 장차 교육현장을 총괄할 교육감이 특정종교에 의한 학원 오염에 대하여 강력한 해결 의지가 없다면 지금과 같은 상황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그런 면에서 공식적으로 모든 서울시 교육감 후보들에게 이에 대한 구체적 대안 제시를 요청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

조계종을 위시해 모든 종파가 힘을 모아 새 서울시 교육감 후보에게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정책을 실행하게 하자. 대선도 중요하지만 서울시 교육감에 대하여 우리가 주목해야 할 이유 중의 하나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