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ㆍMB 사례, 개신교 배타성의 반영”  정태식 
25일 ‘사회갈등과 대통령 종교’ 심포지엄

“해방이후 한국사회에서 국가와 불교 갈등은 대통령의 종교가 개신교일 때, 그가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세속적인 정치권력을 동원할 때 격화됐다.” (유승무 중앙승가대 교수)

“김영삼ㆍ이명박 대통령과 관련된 종교 스캔들은 대통령 개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독점을 추구하며 배타성을 전제로 출발한 한국 개신교가 지닌 전반적인 문제점의 반영이다.” (정태식 경북대 교수)

한국사회역사학회와 한국종교사회학회가 25일 오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관에서 개최한 ‘사회갈등과 대통령의 종교’ 심포지엄에서 대통령의 종교가 개신교일 경우 종교갈등이 심화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유승무 중앙승가대 교수는 “대통령 종교에 따른 종교갈등 발현양상은 국가기구의 민주성 여부, 불교계 내부의 사회통합 정도, 시민사회의 성숙도 등에 따라 다양하다”면서 “대통령이 자신의 종교신념과 정치 지도자로서의 책임윤리를 구분하지 않고, 또 대통령과 동일한 종교신념을 충성경쟁의 지표처럼 활용하려는 공직자가 등장할 때 갈등이 심화된다”고 주장했다.

유 교수는 △정화유시 △10ㆍ27법난 △종교편향 등의 사례를 들어 박정희(무교)ㆍ노태우(불교)ㆍ김대중(가톨릭)ㆍ노무현(무교) 등 개인적으로 불교이거나 무교, 가톨릭을 믿는 역대 대통령의 경우 불교계와 특별한 갈등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이승만ㆍ전두환(퇴임 후 불교)ㆍ김영삼ㆍ이명박 등 개신교를 종교로 가지고 있는 대통령들은 불교계와 갈등을 빚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종교갈등 완화를 위해 대통령 등 공직자의 공적 책임윤리에 입각한 정책 집행과 더불어 국가기구의 민주화, 시민사회의 성숙을 주문했다.

정태식 경북대 교수는 발제문 ‘종교와 정치의 긴장과 타협 - 개신교를 중심으로’에서 “캘빈주의나 청교도주의가 중심이 되는 개신교는 기본적으로 구원귀족의 종교이고, 그 결과 독점과 배타성만을 강조하게 됐다”고 지적한 뒤 “이승만 대통령은 기독교를 통한 한국의 사회정치적 구원과 아시아 최초의 기독교 국가를 만들려고 했으며, 김영삼ㆍ이명박 대통령은 직ㆍ간접적으로 기독교 중심 정치성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승만 대통령 당시 장ㆍ차관급 인사의 42%가 개신교인이었으며, 이명박 대통령 집권 초기에는 장관 및 청와대 수석의 60%가 개신교 인사였음을 근거로 제시했다.

정 교수는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당시의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예로 들고 “정치와 종교가 결합하게 되면 정적(政敵)이 적의 차원을 넘어 악(惡)이 된다”면서 “개신교 신자가 대통령이 되면서 보수적인 개신교 집단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점은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했다.

정태식 교수는 일부 종교계의 정치참여 움직임에 대해 “종교가 정치적 행위를 한다면 그 행위 기준은 보편적 가치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특정 정치집단과 친화적 관계를 유지하거나 정권장악을 위해 종교 정당을 구성하는 행위 등은 종교의 이름으로 정치를 하겠다는 것으로, 정교분리 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윤용복 서울대 교수는 ‘한국 가톨릭과 대통령의 종교’ 발제를 통해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를 제외하면 대통령이 특정 종교를 갖는 것이 정치와 종교 간의 갈등이나 협력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 “대통령이 무슨 종교를 가졌느냐보다 대통령이 종교를 어떻게 받아들이냐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는 전 해인사 승가대학장 법진 스님, 박수호 덕성여대 교수, 오세일 신부, 금인숙 충북대 교수, 김영철 목사, 차성환 한일장신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금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